학술논문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 전후 수문 분석
이용수 23
- 영문명
- Hydrological Analysis Before and After Embankment-Raising Project of Agricultural Reservoir Watershed: A Case Study of Suyang Reservoir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신형진 이재남 임희성 김세훈 한종수 주진걸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6호, 289~29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둑높임 사업 전후를 고려한 수문 분석을 위해 수문모형(SWAT)을 선정하였다. 수양저수지를 포함하는 유역 출구인 송산 수위관측소의 유출량 자료가 있는 2015~2016년의 모형 검⋅보정을 실시하였다. 수양저수지는 댐 높이 13.5 m에서 15.1 m로 증고되었으며 총저수량은 7,472천 m3에서 11,926천 m3로 증가하였다. 모형 검증 결과 모형효율이 0.9로 나타났으며, 둑 높이기 사업 전(2001-2012)과 후(2014-2016)을 모의하여 사업 전⋅후의 수문요소(강우, 유출, 침투, 증발산, 침루, 토양수분, 지하수 증발, 지하수함양)별 결과를 정리하였다. 모델링 결과 사업 전(2001-2012) 평균 강수량 1,479.3 mm, 유출량 864.1 mm, 침투량 550.8 mm, 증발산량 584.2 mm, 지하수 함양량 165.0 mm, 사업 후(2014-2016) 평균 강수량 1290.4 mm, 유출량 678.0 mm, 침투량 494.0 mm, 증발산량 587.9 mm, 지하수 함양량 145.9 mm로 모의되었다. 사업 후 평년 이하의 강수량에도 농업용 저수지 운영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둑 높이기 사업을 통한 저수량의 증가로 장래 물 부족과 이상가뭄 등에 대한 추가 용수 확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등 장기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적정 저수율 제시 등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We selected the SWAT hydrological model to analyze the hydrological changes before and after an embankment-raising project in agricultural reservoirs.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from 2015 to 2016 using discharge data from the Songsan gauge station, which serves as a watershed outlet that includes the Suyang Reservoir. The dam height of Suyang Reservoir was raised from 13.5 m to 15.1 m, which resulted in a total storage capacity increase from 7.472 million cubic meters to 11.926 million cubic meters. The calibrated model demonstrates an efficiency of 0.9. Scenarios for pre- (2001-2012) and post-embankment raising (2014-2016) were simulated, and the results for various hydrological components (precipitation, runoff, infiltration, evapotranspiration, percolation, soil moisture, groundwater evaporation, and groundwater recharge) were summarized. The model results revealed average precipitation, runoff, infiltration, evapotranspiration, and groundwater recharge for the pre-embankment raising period (2001-2012) as 1,479.3 mm, 864.1 mm, 550.8 mm, 584.2 mm, and 165.0 mm, respectively. For the post-embankment raising period (2014-2016), the simulated values were 1,290.4 mm, 678.0 mm, 494.0 mm, 587.9 mm, and 145.9 mm, respectively. Below-average precipitation during the post-embankment raising period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peration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 The increased reservoir capacity through the embankment-raising project suggests the potential for additional water supply in the face of future water shortages and abnormal drought conditions. Additional research, including the determination of an appropriate water storage rate, will be necessary through long-term investigations and analyses, and climate change scenarios should be incorporated.
목차
1. 서론
2. 대상유역 및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딥러닝을 활용한 온천천 부곡교 지점 DO 인자 예측
- 갈수기 수질과 수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수 관리 및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RTK 산출 프로그램 개발
-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 전후 수문 분석
- 공공데이터 활용 클러스터 기반 지진화재위험도 평가기법 개발 연구
- 안전진단 신뢰성 향상을 위한 통계 분석 및 인공지능 모델 기법 연구
- 사례분석을 통한 석축(돌쌓기옹벽)의 붕괴원인 및 안정을 위한 연구
-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중점관리구역 결정을 위한 군집분석
- 물공급시스템 수질사고 확산제어를 위한 체류시간 기반 대응구역 구축 방법론 개발
- 동절기 저온환경에서 양생한 UHPC의 압축강도 발현 평가
- 플랜트 시설물의 Pool Fire 복사열유속 추정방법을 적용한 설계용 예측식 도출에 관한 연구
- 초기화재시 스프링클러 작동에 따른 Smoke-logging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중도리 유⋅무에 따른 복합지붕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연기감지기 한계점 보완 방법에 관한 연구
- 성능위주설계 시 근린생활시설의 수용인원 산정 문제점
- 물류시설의 화재하중 및 등가화재지속시간 산출에 관한 연구
- 물류시설 방화셔터의 복사열로 인한 화재확산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공간자기상관을 통한 화재오인신고의 공간군집패턴 분석
- 고온에 노출된 창호 프레임의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II)
- 가스 누출 탐지 모델 개발을 위한 딥러닝 기반 초음파 이미지 학습 연구
- 토석류 수치해석에서 지형자료와 유출량 적용에 관한 연구
- 위성영상을 적용한 재난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절차 정립 및 화면정의에 관한 연구
- 레이더강우의 수문 활용 제고를 위한 실시간 품질관리 기법 제안
- 이중차분모형을 활용한 재난이 지역의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유동인구 분석을 통한 폭염 긴급재난문자의 효과 분석
- 기상학적 가뭄지수를 활용한 중국 가뭄평가 및 사막화 전망
- 네트워크 레벨에서의 도로 시설물 유지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중요도 결정 기술 개발
- 한⋅일 자연배연 기준 비교를 통한 물류창고 배연설비의 유효면적 산정에 관한 연구
- 장스팬 빙상경기장의 사용성 한계상태 평가를 위한 고유진동수 측정 및 분석
- 건설재해예방기술지도 제도의 개선방안
- U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접합부의 구조성능평가
- ENTA 댐퍼 적용 벽식 골조에 대한 구조실험 및 유한요소해석 연구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3권6호 목차
- 섬진강 유역의 물 이용 특성 분석을 통한 수요관리(유수율 제고) 정량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