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능위주설계 시 근린생활시설의 수용인원 산정 문제점
이용수 7
- 영문명
- Occupant Load Factor Calculation in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while Performance-Based Desig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송영주 김학중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6호, 187~19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용인원 산정 기준은 화재 시 재실자의 피난행동을 예측하고, 피난용량의 크기를 결정하며, 피난 안전성 평가 시 적용되는 피난완료시간(RSET) 계산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현재 근린생활시설의 경우 피난안전구역 설치대상 용도에 따라 분류하면 11가지 용도 중 8가지 용도로 다양한 수치를 적용할 수 있지만, 보수적인 관점에서 수치를 적용하여 수용인원이 많아지는 과다 설계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태를 알리고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용인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관련 법령을 조사⋅분석한 후 00 광역시에서 수행되었던 성능위주설계 대상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용인원 산정기준에 대한 용도별 기준 수치를 적용하고 해당 공간의 피난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수행한 결과 수용인원 산정 수치가 4.6 m2/인 이하일 경우 출입구 2곳에서는 피난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했지만 9.3 m2/인 이상일 경우 모든 출입구에서 피난 안전성이 확보되었다. 이것을 통해 근린생활시설의 수용인원 산정 기준에 대한 문제점과 개정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occupant load factor are crucial for predicting the evacuation behavior of occupants during a fire, determining the size of the evacuation capacity, and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calculation of the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 during fire safety assessments. There are currently 11 categories for classifying safe evacuation area installation targets for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eight of these categories allow for various numerical values to be applied. However, applying numerical values from a conservative perspective results in excessive designs with larger occupant loads. Therefore,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of occupant loads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releva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Subsequently, one of the buildings subject to a performance-based design in City 00 was selected, and occupancy criteria were applied based on the purpose of the space. A safety assessment of the evacuation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 that, evacuation safety was not ensured at the two exits when the occupant load factor was below 4.6 m2/person. However, when the occupant load factor was greater than 9.3 m2/person, evacuation safety is guaranteed at all exits.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aims to raise awareness of issues related to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maximum occupancy in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and the need for revisions.
목차
1. 서론
2. 수용인원 산정의 이론적 고찰
3. 수용인원 산정 기준의 국내외 관련 법령
4. 모델링 및 피난 안전성 평가
5.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딥러닝을 활용한 온천천 부곡교 지점 DO 인자 예측
- 갈수기 수질과 수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수 관리 및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RTK 산출 프로그램 개발
-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 전후 수문 분석
- 공공데이터 활용 클러스터 기반 지진화재위험도 평가기법 개발 연구
- 안전진단 신뢰성 향상을 위한 통계 분석 및 인공지능 모델 기법 연구
- 사례분석을 통한 석축(돌쌓기옹벽)의 붕괴원인 및 안정을 위한 연구
-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중점관리구역 결정을 위한 군집분석
- 물공급시스템 수질사고 확산제어를 위한 체류시간 기반 대응구역 구축 방법론 개발
- 동절기 저온환경에서 양생한 UHPC의 압축강도 발현 평가
- 플랜트 시설물의 Pool Fire 복사열유속 추정방법을 적용한 설계용 예측식 도출에 관한 연구
- 초기화재시 스프링클러 작동에 따른 Smoke-logging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중도리 유⋅무에 따른 복합지붕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연기감지기 한계점 보완 방법에 관한 연구
- 성능위주설계 시 근린생활시설의 수용인원 산정 문제점
- 물류시설의 화재하중 및 등가화재지속시간 산출에 관한 연구
- 물류시설 방화셔터의 복사열로 인한 화재확산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공간자기상관을 통한 화재오인신고의 공간군집패턴 분석
- 고온에 노출된 창호 프레임의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II)
- 가스 누출 탐지 모델 개발을 위한 딥러닝 기반 초음파 이미지 학습 연구
- 토석류 수치해석에서 지형자료와 유출량 적용에 관한 연구
- 위성영상을 적용한 재난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절차 정립 및 화면정의에 관한 연구
- 레이더강우의 수문 활용 제고를 위한 실시간 품질관리 기법 제안
- 이중차분모형을 활용한 재난이 지역의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유동인구 분석을 통한 폭염 긴급재난문자의 효과 분석
- 기상학적 가뭄지수를 활용한 중국 가뭄평가 및 사막화 전망
- 네트워크 레벨에서의 도로 시설물 유지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중요도 결정 기술 개발
- 한⋅일 자연배연 기준 비교를 통한 물류창고 배연설비의 유효면적 산정에 관한 연구
- 장스팬 빙상경기장의 사용성 한계상태 평가를 위한 고유진동수 측정 및 분석
- 건설재해예방기술지도 제도의 개선방안
- U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접합부의 구조성능평가
- ENTA 댐퍼 적용 벽식 골조에 대한 구조실험 및 유한요소해석 연구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3권6호 목차
- 섬진강 유역의 물 이용 특성 분석을 통한 수요관리(유수율 제고) 정량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