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중차분모형을 활용한 재난이 지역의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20
- 영문명
- Impact of Disaster on Household Expenditures Using a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추미진 윤동근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6호, 91~10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재난이 발생함에 따라 피해지역의 가구는 주 생계수단의 소실, 소득원의 감소, 예기치 않은 복구비 지출 등으로 인해 가계소비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재난의 규모, 가구의 특성(고용형태, 소득수준 등)에 따라 재난이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 수준은 달라질 수 있으나 실제 재난이 지역의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미흡하며, 가구에 대한 복구지원정책도 한정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2년도 태풍 볼라벤⋅덴빈⋅산바를 대상으로 태풍 발생 전⋅후 피해(우심피해)를 경험한 지역의 가계 소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한국노동패널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중차분모형을 통해 재난 발생 및 피해규모에 따른 가구의 소비지출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가구주의 고용형태와 가구 소득분위에 따라 재난이 가구의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난 피해를 경험한 가구가 그렇지 않은 가구에 비해 재난 이후 약 5% 더 소비지출이 감소했으며, 우심피해지역 가구는 3.05% 소비지출이 더 감소하였다. 또한, 소득 1사분위일 경우 36.8%, 가구주가 임시/일용직 또는 자영업에 종사하는 경우 각각 5.3%, 3.8% 소비지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가구 측면의 복구지원 정책 수립 및 우선 지원 대상 등을 선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2012 typhoon o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in South Korea using a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We analyzed the changes i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based on the extent and severity of disaster damage. Additionally, how these impacts vary depending o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household head and the household’s income quartile was explor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households experiencing disaster damage tend to reduce their consumption expenditures compared to unaffected households. Notably, households in the lowest income quintile and those with heads engaged in temporary or self-employment experience more significant declines. These research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shaping future policies aimed at supporting household recovery and effectively directing post-disaster assistance resources.
목차
1. 서론
2. 재난이 가구 경제에 미치는 영향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딥러닝을 활용한 온천천 부곡교 지점 DO 인자 예측
- 갈수기 수질과 수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수 관리 및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RTK 산출 프로그램 개발
-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 전후 수문 분석
- 공공데이터 활용 클러스터 기반 지진화재위험도 평가기법 개발 연구
- 안전진단 신뢰성 향상을 위한 통계 분석 및 인공지능 모델 기법 연구
- 사례분석을 통한 석축(돌쌓기옹벽)의 붕괴원인 및 안정을 위한 연구
-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중점관리구역 결정을 위한 군집분석
- 물공급시스템 수질사고 확산제어를 위한 체류시간 기반 대응구역 구축 방법론 개발
- 동절기 저온환경에서 양생한 UHPC의 압축강도 발현 평가
- 플랜트 시설물의 Pool Fire 복사열유속 추정방법을 적용한 설계용 예측식 도출에 관한 연구
- 초기화재시 스프링클러 작동에 따른 Smoke-logging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중도리 유⋅무에 따른 복합지붕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연기감지기 한계점 보완 방법에 관한 연구
- 성능위주설계 시 근린생활시설의 수용인원 산정 문제점
- 물류시설의 화재하중 및 등가화재지속시간 산출에 관한 연구
- 물류시설 방화셔터의 복사열로 인한 화재확산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공간자기상관을 통한 화재오인신고의 공간군집패턴 분석
- 고온에 노출된 창호 프레임의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II)
- 가스 누출 탐지 모델 개발을 위한 딥러닝 기반 초음파 이미지 학습 연구
- 토석류 수치해석에서 지형자료와 유출량 적용에 관한 연구
- 위성영상을 적용한 재난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절차 정립 및 화면정의에 관한 연구
- 레이더강우의 수문 활용 제고를 위한 실시간 품질관리 기법 제안
- 이중차분모형을 활용한 재난이 지역의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유동인구 분석을 통한 폭염 긴급재난문자의 효과 분석
- 기상학적 가뭄지수를 활용한 중국 가뭄평가 및 사막화 전망
- 네트워크 레벨에서의 도로 시설물 유지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중요도 결정 기술 개발
- 한⋅일 자연배연 기준 비교를 통한 물류창고 배연설비의 유효면적 산정에 관한 연구
- 장스팬 빙상경기장의 사용성 한계상태 평가를 위한 고유진동수 측정 및 분석
- 건설재해예방기술지도 제도의 개선방안
- U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접합부의 구조성능평가
- ENTA 댐퍼 적용 벽식 골조에 대한 구조실험 및 유한요소해석 연구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3권6호 목차
- 섬진강 유역의 물 이용 특성 분석을 통한 수요관리(유수율 제고) 정량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