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동인구 분석을 통한 폭염 긴급재난문자의 효과 분석
이용수 54
- 영문명
- Effectiveness of Heatwave Emergency Alert Messages through Analysis of Floating Popula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홍유정 정진도 김우식 윤동근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6호, 77~9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폭염 긴급재난문자는 폭염 대응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하여 폭염 발생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야외활동 자제 또는 외출 자제 등의 행동 지침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폭염 긴급재난문자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21년 폭염기간을 대상으로 서울시 동-시간 단위의 위치기반 모바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동인구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의 사회경제적⋅물리환경적 특성에 따라 폭염 긴급재난문자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주안을 두고 어떠한 특성이 긴급재난문자의 효과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시 전체 유동인구는 폭염 긴급재난문자로 인해 0.1~3.4%의 범위에서 감소하였다. 한편, 지역별로는 평균적으로 2.4~5.6% 범위에서 감소하였으며, 긴급재난문자가 지역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긴급재난문자의 효과가 큰 지역과 작은 지역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긴급재난문자의 효과가 작은 지역은 고령인구 비율이 낮은 특징이 있었으며, 고용집적도가 높거나 대중교통 접근성이 높은 특징이 있었다. 이외에도, 사회경제적 특성인 가구원 수, 성비, 평균연령과 물리환경적 특성인 녹지 비율이 지역 간 폭염 긴급재난문자 효과의 격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Heatwave emergency alert messages (EAM) not only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on heatwave occurrences but also include behavioral guidelines, such as avoiding outdoor activities or going out to respond to heatwaves and minimize damage. To investigate the EAM's effectiveness,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floating population during 2021 using Seoul dong-unit and hourly location-based mobile big data. We also examined what socioeconomic and phys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uld cause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fact that EAM may have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regional factors. The findings revealed a notable reduction in the overall floating population of Seoul, ranging from 0.1 to 3.4%. When examined by region, an average decrease of 2.4 to 5.6% was observed, indicating the different effects of EAM by region. Further analysi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highlighted that areas with low EAM effectiveness were characterized by a lower ratio of senior residents, higher employment concentration, and higher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dditionally,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gender distribution, average age, and presence of green spaces can contribute to the gap in the effectiveness of EAM between region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딥러닝을 활용한 온천천 부곡교 지점 DO 인자 예측
- 갈수기 수질과 수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수 관리 및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RTK 산출 프로그램 개발
-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 전후 수문 분석
- 공공데이터 활용 클러스터 기반 지진화재위험도 평가기법 개발 연구
- 안전진단 신뢰성 향상을 위한 통계 분석 및 인공지능 모델 기법 연구
- 사례분석을 통한 석축(돌쌓기옹벽)의 붕괴원인 및 안정을 위한 연구
-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중점관리구역 결정을 위한 군집분석
- 물공급시스템 수질사고 확산제어를 위한 체류시간 기반 대응구역 구축 방법론 개발
- 동절기 저온환경에서 양생한 UHPC의 압축강도 발현 평가
- 플랜트 시설물의 Pool Fire 복사열유속 추정방법을 적용한 설계용 예측식 도출에 관한 연구
- 초기화재시 스프링클러 작동에 따른 Smoke-logging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중도리 유⋅무에 따른 복합지붕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연기감지기 한계점 보완 방법에 관한 연구
- 성능위주설계 시 근린생활시설의 수용인원 산정 문제점
- 물류시설의 화재하중 및 등가화재지속시간 산출에 관한 연구
- 물류시설 방화셔터의 복사열로 인한 화재확산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공간자기상관을 통한 화재오인신고의 공간군집패턴 분석
- 고온에 노출된 창호 프레임의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II)
- 가스 누출 탐지 모델 개발을 위한 딥러닝 기반 초음파 이미지 학습 연구
- 토석류 수치해석에서 지형자료와 유출량 적용에 관한 연구
- 위성영상을 적용한 재난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절차 정립 및 화면정의에 관한 연구
- 레이더강우의 수문 활용 제고를 위한 실시간 품질관리 기법 제안
- 이중차분모형을 활용한 재난이 지역의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유동인구 분석을 통한 폭염 긴급재난문자의 효과 분석
- 기상학적 가뭄지수를 활용한 중국 가뭄평가 및 사막화 전망
- 네트워크 레벨에서의 도로 시설물 유지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중요도 결정 기술 개발
- 한⋅일 자연배연 기준 비교를 통한 물류창고 배연설비의 유효면적 산정에 관한 연구
- 장스팬 빙상경기장의 사용성 한계상태 평가를 위한 고유진동수 측정 및 분석
- 건설재해예방기술지도 제도의 개선방안
- U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접합부의 구조성능평가
- ENTA 댐퍼 적용 벽식 골조에 대한 구조실험 및 유한요소해석 연구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3권6호 목차
- 섬진강 유역의 물 이용 특성 분석을 통한 수요관리(유수율 제고) 정량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