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3~14세기 단수의(短袖衣)형 의복의 조형적 특징과 교류

이용수 5

영문명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Exchange of Short-Sleeved Clothes in the 13th-14th Century: Centered around Mongolia, China, and Korea
발행기관
한국몽골학회
저자명
이호정
간행물 정보
『몽골학』제75호, 125~15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몽골, 중국과 한국에서 착용되었던 짧은 소매의 의복, 즉 단수의형 복식에 주목하였다. 단수의는 소매가 없거나, 짧은 의복을 총칭하는 개념이며, 단독으로 착용되기보다 덧입혀지는 덧옷의 용도로 착용되었다. 또한 13-14세기 이전의 단수의형 의복은 전개형 혹은 관두형의 형태로 발달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도 이미 북방유목 민족들이 착용했던 호복의 일종으로 판단하였다. 단수의형 의복의 명칭에 따라 종류와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답호는 ‘반소매 혹은 소매가 없는 형태의 긴 덧옷’으로 몽골제국에서는 질손복을 구성하는 의복 중 하나이다. 비견은 답호와 유사한 형태로 추정되는 의복인데, 즉 직령 교임이며 옆선에 주름이 있고 반소매가 달린 형태로 생각된다. 비갑은 ‘맞닿아 내려가는 곧은 깃을 가진 소매없는 긴 외투’이다. 이 중 답호와 비갑을 중심으로 복식 교류 양상을 살펴보면, 먼저 답호는 고대 몽골에서 방한의 목적으로 착용되었던 의복이 중국 명대와 고려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기후와 생활양식, 고유한 복식문화와의 접변으로 인해 소재나 용도가 변화하면서 정착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더욱이 직령교임형의 이중식, 우임으로 깊게 여며지는 형태, 양 옆 트임과 무와 같은 조형적인 특징이 3국의 출토 자료 및 회화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고 있어 문화 접변을 통한 의복의 교류가 있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또한 비갑은 몽골제국 시기의 자료가 불분명하지만 몽골제국이 권력을 확장하던 시기부터 착용하기 시작하여 이후 명, 고려, 조선에까지 영향을 준 의복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19세기 이후부터 ‘오즈’의 기원이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복식을 통한 문화 교류 및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주변 국가나 민족의 자료, 통시적인 자료들을 함께 확인하는 작업이 더욱 중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short-sleeved clothing in Mongolia, China, and Korea, specifically exploring the concept and origin of short-sleeved attire by examining the types and their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further identifying traces of costume exchange manifested through short-sleeved garments. First, Short-sleeved clothing is a generic term for garments with no sleeves, usually worn as overcoats rather than as standalone items. The term has changed depending on the era, country, and formative style, such as the length or collar of the clothing. Additionally, through examination of historical records and relics, it was observed that short-sleeved clothing before the 13th and 14th centuries developed in the form of kaftan-type or Poncho-type clothing. It was understood as a type of clothing worn by nomadic tribes of Central Asia. There are three types of short-sleeved clothing seen throughout the three countries. Dapo is “a short-sleeve or sleeveless overcoat” and is one of the elements of the Mongolian Jisün or Zhisun, a ceremonial attire of the Yuan dynasty. Bi-gyun is presumed to be similar to Dapo: it has a straight collar with an overlapping closure, with pleats on each side and half-length sleeves. Bigap is ‘a long sleeveless overcoat with a straight collar with a center closure’. We can examine traces of cultural exchange that show in the Dapo and the Bigap. First, the Dapo was originally worn in ancient Mongolia for warmth. It was introduced to Ming and Goryeo and has evolved over time, as different materials were used for different climates lifestyles, and local unique clothing culture. Moreover, the formative features such as the straight double collars, the overlapping closure to the deep right side, slits to the side, and side panels are commonly seen in excavated and painted materials across the three countries, indicating an exchange of clothes through cultural contact. Additionally, although data from the Mongolian Empire period is unclear, the Bigap is believed to be a garment that was worn since the Mongol Empire expanded its power and in time influenced Ming and Goryeo. It is also assumed to be the origin of Uuj ’in the 19th century. So far, our efforts have been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exchange and flow of clothing culture through short-sleeved garments of Mongolia, Goryeo, and Ming. Moving forward, detailed discussions on cultural exchange and change in costumes must be conducted by examining not only the data from these countries but also the data from neighboring countries and peoples as well.

목차

1. 서언
2. 13~14세기 이전 단수의형 의복 관련 자료 검토
3. 13~14세기 단수의형 의복의 종류와 특징
4. 단수의형 의복의 교류 양상
5. 요약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호정. (2023).13~14세기 단수의(短袖衣)형 의복의 조형적 특징과 교류. 몽골학, (), 125-150

MLA

이호정. "13~14세기 단수의(短袖衣)형 의복의 조형적 특징과 교류." 몽골학, (2023): 125-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