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체벵(Čeveng)의 『몽골 소수민족지』 역주ㆍ3

이용수 33

영문명
An Annotated Translation of Čeveng’s Ethnography of Mongolian MinoritiesㆍⅢ: The Qotung, the Bayad, the Ögeled, the Mingγad, the ǰaqačin,the Torγud, the Čaqar, and the Dariγangγa
발행기관
한국몽골학회
저자명
김장구
간행물 정보
『몽골학』제75호, 91~12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근대 몽골의 위대한 인문학자인 체벵(ǰamsaring-un Čeveng)이 지은 『몽골 소수민족지』 중에서 ‘호통’부터 ‘다리강가’까지를 역주한 것이다. 먼저 호통 사람들의 생업은 농사이며 두르부드와 섞여 살며 몽골화가 되었지만, 생김새는 여전히 투르크계의 특징이 많다. 신앙은 이슬람이며 결혼할 때는 같은 부족 내에서만 상대를 구한다. 그들은 귀족에게 곡식(밀), 가축, 은(銀) 등을 바치고 노동력도 제공하였다. 바야드의 거주지는 가축을 키우거나 농사를 짓는데 알맞다. 그들의 생업은 오종(五種) 가축으로 야크가 많고 소는 적으며 일부는 사냥을 한다. 울드의 거주지는 가축을 키우기에 좋다. 울드 사람들은 몽골 계통이며 4오이라드 연맹의 구성원이었다. 울드 사람들은 야크와 낙타, 양을 많이 기르지만 농사는 적게 지으며 일부는 사냥을 한다. 먕가드의 기원은 투르크 계통이지만 점차 몽골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관습은 호트고이드와 유사하며 신체 골격은 몽골과 유사하다. 먕가드 사람들의 주된 생업은 유목이며 농사는 짓지 않는다. 자흐친의 기원은 토르고드이며, 역사상 준가르칸국의 국경을 지키는 군사를 자흐친이라고 불렀다. 이들의 생업은 유목이며, 일부는 농사를 짓고 일부는 사냥을 한다. 토르고드는 생활방식과 관습, 억양 등이 독자적이지만 자흐친과 유사하다. 생업은 유목이고 일부는 농사를 지으며 4오이라드 연맹의 구성원이었다. 앞에서 언급한 두르부드, 울드, 토르고드, 자흐친 등은 모두 4오이라드 연맹에 속했던 부족들이며 준가르칸국이 멸망한 이후 흩어져 남은 자들이다. 신장성[新疆省]에 있는 일리 차하르 16개 솜은 1758년도에 변경을 지키고 농사를 짓도록 차하르와 나이만 호쇼의 백성들 일부를 옮겨와 거주시킨 것이다. 1911년에 몽골의 민족혁명이 발생하자 차하르의 소미야가 속민을 데리고 몽골국에 합류하자 그들을 캬흐타 서쪽에 살게 하였다. 차하르 사람들은 총명하고 일을 잘 하며, 빠른 말을 좋아해서 말 품종을 개선하는데 열심이다. 다리강가 사람들은 릭덴 호탁트 칸의 속민이었던 차하르의 나이만 호쇼[旗]에서 이주시킨 사람들이다. 다리강가 지역은 몽골 고비 사막을 지날 때 폭이 가장 좁기 때문에 옛날부터 대군이 여러 번 통과하였다. 다리강가 목장의 기원은 울드의 갈단 칸이 할하를 공격하자 청 강희제가 울드를 분쇄한 뒤 노획한 가축을 모아 기르게 한 것이다. 매년 차하르의 아문(衙門)에 규정된 수의 가축을 공출하였다. 이와 같이 체벵은 다양한 자료를 이용해 몽골국의 구성원인 소수민족들의 삶과 자연 환경, 역사와 문화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특히 몽골의 변경에 대한 상세한 서술은 1921년 독립한 몽골국의 구성원인 소수민족들의 인구와 경제 상황 등을 파악하여 안정적인 통치에 도움을 주고자했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Ethnography of Mongolian Minorities written by ǰamsaring-un Čeveng, a great modern Mongolian scholar, covering from the Qotung to the Dariγangγa. First of all, the livelihood of the Qotung is farming, and they have been absorbed into the culture of the Mongols dwelling in the midst of the Dörbed. However, their appearance still retains many Turkic characteristics. They practice Islam as their faith and seek marriage partners only within the same tribe. They used to offer grain (wheat), livestock, and silver to the princes and provided labor as well. The Bayad’s habitat is suitable for raising livestock and farming. Their livelihood is raising the five kinds of livestock, with numerous yaks and few oxen, while some engage in hunting. The Ögeled’s habitat is good for raising cattle. The Ögeled are of Mongolian descent and were members of the Four Oyirad. They raise numerous yaks, camels, and sheep, but sow crops on a small scale, with some practicing hunting. The origin of the Mingγad is of Turkic descent, but they gradually started using Mongolian language. Their custom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Qotoγoid, and their physique is similar to that of the Mongols. Their main occupation is nomadic, and they do not practice agriculture. The ǰaqačin have Torγud origins, and in history, the guards of the borders of the Jungar state were called ǰaqačin. Their primary occupation is nomadic, with some engaging in farming and others in hunting. The Torγud have a distinct way of life, customs, dialect, etc., but they are close to the ǰaqačin. As means of subsistence, they have livestock for transhumance, with some engaging in farming, and they were a branch of the Four Oyirad. The aforementioned the Dörbed, Ögeled, Torγud, ǰaqačin, and so on were all tribes of the Four Oyirad, and the remnants after the fall of the Jungar state. The 16 sumuns of the Čaqars of the Ili in the Sinkiang province consisted of the people from the Čaqar and the Naiman qosiγun who were relocated and settled to guard the border regions and promote farming in 1758. When the Mongolian National Revolution occurred in 1911, Sumiya of the Čaqars led his subjects to join Mongolia, and they were resettled in the west of Kyakhta. The Čaqars are alert and proficient in their work, with a fondness for swift horses and a dedication to improving horse breeds. The Dariγangγa people are those who were relocated from Naiman qosiγun (Banner) of the Čaqar, subjects of Ligden Qutuγtu Qaγan. Dariγangγa is the narrowest point for crossing the Mongolian Gobi Desert, and from early times it has served as a passage for great armies. The origin of the Dariγangγa pasture dates back to the Kangxi emperor of the Qing dynasty. After defeating the Ögeled when Γaldan of the Ögeled attacked the Khalkha, the Kangxi Emperor ordered to gather and raise the captured livestock in Dariγangγa. Every year, a specific number of cattle established by the Čaqar’s yamun was delivered. In this way, Čeveng systematically organized various sources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lives, natural environment, history, and culture of the ethnic minorities that constitute Mongolia. In particular, th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borders of Mongolia aimed to help understand the population and economic conditions of the ethnic minorities, who were part of the newly independent Mongolia in 1921, and contribute to stable governance.

목차

1. 머리말
2. 호통, 바야드, 울드, 먕가드, 자흐친, 토르고드, 차하르, 다리강가
3.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장구. (2023).체벵(Čeveng)의 『몽골 소수민족지』 역주ㆍ3. 몽골학, (), 91-124

MLA

김장구. "체벵(Čeveng)의 『몽골 소수민족지』 역주ㆍ3." 몽골학, (2023): 91-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