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긍정 및 부정 정서 반응성에 대한 냉담-무정서 특질
이용수 34
- 영문명
- Callous-unemotional Traits 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Reactivity
- 발행기관
- 한독심리운동학회
- 저자명
- 정병종
- 간행물 정보
- 『심리운동연구』제9권 제3호, 153~16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냉담-무정서 특질은 낮은 정서 반응성과 관련이 있는데, 이전 연구들은 주로 부정적인 자극에 대한 정서 반응성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긍정적인 자극에 대한 정서 반응성도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 이 연구는 냉담-무정서 특질과 긍정 및 부정 정서 반응성의 관련성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의 검토를 통해 정서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대상들을 중재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연구 결과, 정서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정서 가변성, 정서 반응성에 대한 냉담-무정서 특질, 정서 반응성과 정서조절 등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여러 내용들이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정서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대상들을 중재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한 연구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callous-ambitious trait is associated with low emotional reactivity, and it is unclear whether emotional reactivity to positive stimuli is also affected because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emotional reactivity to negative stimuli. As a result of examining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llous-unauthorized character an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reactivity,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a number of things to consider in emotional malleability, the callous-unauthorized character of emotional reactivity, and emotional reactivity and emotional regulation when emotional regulation is difficult.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in future research on how to mediate subjects with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정서 가변성
Ⅲ. 정서 반응성에 대한 냉담-무정서 특질
Ⅳ. 정서 반응성과 정서조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