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불안정 애착 영유아에 관한 이해이론 적용 가능성 탐색
이용수 86
- 영문명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Understanding Theory to Insecurely Attached Infants and Toddlers
- 발행기관
- 한독심리운동학회
- 저자명
- 이현재 김현실
- 간행물 정보
- 『심리운동연구』제9권 제3호, 95~11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불안정 애착 영유아에 대해 이해이론에 기반을 두어 심리운동지원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전 생애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영유아기의 애착형성에 대해 Bowlby의 애착이론에서는 인간의 심리 내부에 자신과 양육자에 대한 인지적 모델인 내부작동모델(Internal working model)에 대해 알아보고, Ainsworth의 애착이론에서는 애착의 유형을 알아봄으로써 불안정 애착관계에 놓인 영유아의 움직임과 특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움직임을 기반으로 하는 심리운동에서 해석학, 현상학, 심층해석학, 변증법을 토대로 인간을 이해하고자 하는 Seewald의 이해이론을 설명하였다. 이 두 이론 사이의 연결을 통해 양육자와 애착관계가 영유아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불안정 애착 영유아를 위한 심리운동지원에 활용할 수 있는 이해이론의 관점으로 자율성과 패배, 배변과 창조, 언어습득환경, 욕구제어와 분별력 등에 대한 다양한 상황과 활동도 제시하여 영유아의 움직임의 의미를 양육자가 적극적으로 이해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접촉과 움직임이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영유아의 발달특성상 몸을 통한 상향식 접근법(Bottom-Up)과 함께 영유아의 다양한 언어·비언어적 표현에 대한 의미 찾기와 이해에 초점을 맞춘 하향식 접근법(Top-down)의 통합적 접근을 고려하였다. 이처럼 이해이론은 애착이론과 함께 영유아와 양육자의 애착 관계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이해를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psychomotor support for insecurely attached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understanding theory. Bowlby's attachment theory examines the internal working model, which is a cognitive model of oneself and caregivers within human psychology, regarding the formation of attachment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which affects the entire life development process, and Ainsworth's attachment theory. presented the mov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toddlers in insecure attachment relationships by examining the types of attachment. Seewald's theory of understanding, which seeks to understand humans based on hermeneutics, phenomenology, deep hermeneutics, and dialectics, in movement-based psychological movements, was explained.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se two theories, it was found that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caregive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ory that can be used in psychomotor support for insecurely attached infants and toddlers, we also present various situations and activities on autonomy and defeat, toileting and creativity, language acquisition environment, desire control and discernment, etc., so that caregivers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infants and toddlers' movements. It was emphasized that efforts to actively understand should come first. Due 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which touch and movement have an absolute influence, we considered an integrated approach of a bottom-up approach through the body as well as a top-down approach that focuses on finding meaning and understanding of infants' various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In this way, understanding theory, along with attachment theory, sought a more in-depth and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the attachment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their caregiv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애착과 이해이론의 통합적 적용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