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spects of Using Post-reading Activity Called ‘Identifying Specific Information’: Focusing on domestic undergraduate students and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박진욱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55호, 83~10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aper aimed to figure out the aspects of learners’ reaction to the post-reading activity named as identifying specific information and it intended to find out educational implications which can be used in the real classroom. First of all, the study looked through the true value of teaching and learning post-reading activity called identifying specific information, which was considered as an undesirable ac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ly, the study examined different reaction patterns recognized between domestic undergraduate students and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in terms of identifying specif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domestic students usually recast and used different types of sentence to verify their understanding of reading passage. On the other hands, international students tended to retain sentence of original reading passage. As a result, the identifying specific information activity should be used after reading because it shows that learners are able to apply various strategies to recast new sentences. In addition, it is a similar activity with ‘paraphrasing’ in terms of producing new sentences. Therefore, various teaching methods related to the activity should be developed and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desirable activity which promotes learners’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ability.
목차
1. 들어가며
2. 한국어 읽기 활동 유형과 학습자 반응
3. ‘세부 내용 파악하기’에 대한 학습자 반응 양상
4. ‘세부 내용 파악하기’ 활동의 교육적 활용
5. 나오며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승어 교육 측면에서 본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
- 주제 중심 접근법 기반의 재외동포 아동용 한국어 교재 개작 방안 연구
-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담화의 상황 맥락 연구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일상대화에 나타난 상투적 표현 이해 연구
- 다중언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종 인지 능력과 어휘 의미 파악 능력의 연관성 연구
- 베트남 여성 결혼이민자의 언어 학습 신념 연구
- 한국어 교실에서의 숙제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 연구
- 한국어 비음의 탈비음화에 대한 연구
- 한‧중 합성명사 어순에 대한 유형론적 고찰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 금지 표현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원 문화와 학업 적응에 대한 연구
- 인지 점검 모형 기반 상위인지 교육 방안
- 읽기 후 ‘세부 내용 파악하기’ 활동에 대한 반응 양상 연구
- 정부초청 장학생을 위한 문화적응 프로그램 요구 조사 및 설계 방안
- 한국 현대시의 한영 번역 연구
-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에 관한 다각적 검토
-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시험의 평가자 요소가 채점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