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하오체, 하게체 교육 내용 연구
이용수 21
- 영문명
- A Study about Educational Contents of Hao and Hage Styl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박지순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59호, 53~8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Hao and Hage style in Korean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and suggest proper contents for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both corpus data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result of corpus analysis shows next three points. Firstly despite big decline in use some final endings of Hao and Hage style still used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Secondly, Some final endings mainly appeared in certain context showing specific functions. Thirdly, in written language final endings of Hao and Hage style are used as ‘yesa-nopim’ and ‘yesa-natchum’. These points suggest that Hao and Hage style are supposed to be taught to Korean language learners up to their proficiency level and purpose of learning. Also the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shows that contents of Hao and Hage style do not correspond with one another. Some endings such as ‘-upsida’ are appeared not showing real usage as well.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Hao and Hage style be taught in differently in contents and methods for proficiency level and purpose of study.
목차
1. 서론
2. 현대 국어에서 하오체, 하게체의 쓰임
3. 한국어 교재의 하오체, 하게체 제시 양상
4. 하오체, 하게체 교육 범위 및 내용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