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Status in the Older People: Using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이용수 57
- 영문명
-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Status in the Older People: Using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저자명
- 김학주
- 간행물 정보
- 『생명연구』제70집, 119~1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고령자의 건강 상태의 속성을 감안할 때, 건강 상태 활동이 삶의 만족에 기여해야 한다는 주장은 언뜻 보기에 명확해 보인다. 최근 임상연구들에 따르면 건강 상태가 객관적 또는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종단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삶의 만족도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추론분석은 중고령자(관찰 기간 동안 50세 이상)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한 대규모 종단 연구인 1차에서 8차 노후보장패널 (KReIS)의 8개 wave의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결과는 장애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 변수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장애여부와 주관적 삶의 만족도를 고려하여 중고령자 건강 관련 정책적 개입은 이들 집단의 성공적인 노화를 지원할 수 있다.
영문 초록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Given the nature of health conditions it seems so obvious at a first glance that one’s health status activities should contribute to his/her life satisfaction. Indeed, recent research has found positive effects of health status on objective or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and their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longitudinal data. This analysis uses data from eight waves of the 1st to 8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a large, randomly sampled longitudinal study of older adults (aged 50 and over across the observation period). The results indicate that disabilities and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variables contribute positively to life satisfaction.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can possibly reduce the difficulties are important interventions that can support successful aging. d Health Status in the Older People: Using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Review: The effect of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Ⅲ. Data and Methodology
Ⅳ. Results
Ⅴ. Summary and Conclusion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이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
-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Status in the Older People: Using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 알코올 중독자들의 자살 생각 원인에 관한 연구
- 고령친화환경 요인이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사에 미치는 영향
- 유배우자 여성장애인 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년의 공정성 인식이 상대적 박탈감에 미치는 영향
- 아감벤 철학에서 정치의 구성요소로서의 내전 개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K-pop의 재영토화 - 한류의 범세계적 생산과 소비를 통한 ‘문화와 영토’에 대한 탐구
- 한류의 발전 단계 구분에 관한 연구
- 홍일식의 효(孝) 담론과 ‘우리-공동체’의 보편적 실천 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