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배우자 여성장애인 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4
- 영문명
-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Daily Life Satisfaction of Female Workers with Disabilities Who Have Spous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저자명
- 최순례 이홍직
- 간행물 정보
- 『생명연구』제70집, 49~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배우자가 있는 여성 장애인 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일상생활만족도 간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 장애인고용 공단에서 제공하는 ‘장애인고용 패널’ 2차 웨이브 7차 자료(2022)의 메인 버전 4,577명 중 여성 장애인 근로자 272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시행하였고 데이터 분석에는 SPSS와 Macro PROCESS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배우자 여성 장애인 자기효능감은 일상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일상생활만족도도 간 직무만족도는 이들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유배우자 여성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제언을 전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by female workers with disabilities who have spouses, to enhance daily life satisfaction of them. For this analysis, the data from 272 female workers with disability among 4,577 from the main versions for the 2nd wave data of 7th(2022)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releas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alysis, SPSS and Macro PROCES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female disabled workers who have spous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aily life satisfaction. Second,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self-efficacy and daily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it delivered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daily life satisfaction of female workers with disabilities who have spouse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이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
-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Status in the Older People: Using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 알코올 중독자들의 자살 생각 원인에 관한 연구
- 고령친화환경 요인이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사에 미치는 영향
- 유배우자 여성장애인 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년의 공정성 인식이 상대적 박탈감에 미치는 영향
- 아감벤 철학에서 정치의 구성요소로서의 내전 개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