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행 군형사법 체계의 합리적 개선방안

이용수 23

영문명
Reasonable Improvement Plan for the Current Military Criminal Law System in Korea
발행기관
한국테러학회
저자명
이성대
간행물 정보
『한국테러학회보』제16권 제3호, 89~11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군 사법의 체계와 구성을 규정하고 있는 기본법으로서 군사법원법은 1962년 제정된 군법회의법을 모태로 지금까지 수많은 개정을 거쳐 왔으며, 아직까지 실질적 의미의 변화로는 부족한 부분이 발견되기는 하더라도 비교적 최근의 개정으로 상당한 변화를 가져 왔다. 1962. 1. 20. 자로 제정된 군법회의법부터 기산하면 40여 차례의 개정을 거쳐 온 군사법원법과는 달리 실체법으로서의 군형법은 동일한 시기에 제정되었음에도 개정의 빈도나 내용적 측면을 놓고 볼 때 비교적 완만한 변화를 거쳐 왔을 뿐이다. 이러한 차이는 절차법과 실체법이라는 속성에서 발현하는 부분이 없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그동안 군형법상의 구성요건에 대한 위헌시비를 비롯한 다양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이루어진 개정은 지나치게 소극적이고 실질적 의미를 부여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다. 이와 같이 군사법원법과는 달리 군형법은 실제상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지만, 군 사법에 대한 사회적 불신과 이에 따른 변화의 필요성을 고려할 때 실체법인 군형법의 변화필요성과 그 방향에 대한 모색은 당면한 과제가 되었다. 이 글은 군사법원법의 개정내용과 연계하여군형법의 문제점 또는 개선의 필요성은 없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군형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나름의 대안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결론적으로 그동안 공감할 수 없는 논거를 기반으로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주장을 일관하고 있는 국방부의 입장을 지지할 수 없으며, 이제 과감한 군형사법 체계의 개혁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출발점은 실체법인 군형법의 한시법화와 그에 따른 평시 군사법원의 폐지에서 찾아야 한다. 이것이 바로 군 사법체계에 대한 사회일반의 불신을 극복하고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가장 빠른 길이다.

영문 초록

As a basic law that regulates the system and composition of military justice, the Military Court Act has undergone numerous revisions based on the Military Courts Act enacted in 1962, and when viewed from a larger perspective, changes in practical meaning are still lacking. Although this was discovered, it is also true that relatively recent revisions have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Unlike the Military Court Act, which has gone through about 40 revisions starting from the Military Court Act enacted on January 20, 1962, the Military Criminal Act, which is a substantive law, has been relatively revised in terms of frequency and content of revision even though it was enacted at the same time. It has gone through a gradual change. This difference can be seen as a natural result of the nature of procedural law and substantive law, but despite various controversies, including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military criminal law's requirements, the actual revisions are too passive and insufficient to give practical meaning. many. In this way, unlike the Military Court Act, the Military Criminal Act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reality, but considering the social distrust of military justice and the resulting need for change, the immediate task is to explore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change in the Military Criminal Act, which is the substantive law. It has been don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any problems or need for improvement in the Military Criminal Act in connection with the revisions to the Military Court Act, and based on this, to present alternatives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In conclusion, we cannot support the position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hich has consistently argued that it is premature based on arguments that cannot be agreed upon, and emphasized that it is time to move forward with drastic reform of the military criminal justice system. And the starting point should be found in the temporary legalization of the military criminal law, which is a substantive law, and the subsequent abolition of peacetime military courts, through which it was believed that the ultimate liquidation of the peacetime military criminal law system would be possibl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군사법원법의 개정과 군형법의 문제점
Ⅲ. 군형법의 개선방안
Ⅳ.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대. (2023).현행 군형사법 체계의 합리적 개선방안. 한국테러학회보, 16 (3), 89-114

MLA

이성대. "현행 군형사법 체계의 합리적 개선방안." 한국테러학회보, 16.3(2023): 89-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