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후위기 대응과 공법의 역할

이용수 87

영문명
Response to Climate Crisis and the Role of Public Law
발행기관
한국국가법학회
저자명
김남욱
간행물 정보
『국가법연구』제19집 4호, 1~45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가의 온실가스배출거래제도와 탄소중립정책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에너지발전, 철강 및 화학산업, 가정, 수송에서의 에너지, 시멘트 등의 산업공정, 농업,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증가로 지구는 기후위기를 직면하고 있다. 즉, 기후위기는 해수면상승, 집중홍수와 산사태로 해안저지대 및 해안도시의 침수와 인근 거주자의 경제적 피해발생을 야기하고, 생태계 파괴와 사막화, 가뭄장기화, 해양산성화 등으로 식량안보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강진과 극한 폭우·폭염 및 태풍, 감염병 확산으로 인명과 재산의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기후위기로 인하여 청소년, 미래세대등은 헌법재판소에 기후소송을 제기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헌법상 기후기본권을 인정할 수 있는지 사회적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기후위기에 따른 국민의 생명, 신체, 재산을 보호하고 쾌적한 환경에 살 권리를 현세대와 미래세대에 보장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기후위기대응에 관한 공법적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후위기의 개념과 우리나라의 기후위기대응법제를 살펴본 후,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네덜란드의 입법례와 판례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에 시사점을 강구한다. 또한 헌법상 기후위기대응에 관한 규정 명문화,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보장을 위한 기후기본권 보장, 기후위기대응법의 역할, 협력적 기후거버넌스에 의한 기후위기대응과 협치,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자유에 관한 현세대와 미래세대의 시간적 기후위기보호권 보장, 기후변화의 위기에 대응한 비상선언과 공법의 역할에 관한 법적문제를 논의를 통하여 공법의 역할을 검토한다. 기후보호와 기후위기대응을 위하여 헌법상 기후변화감축목표를 명시하고, 기후위기대응협력조치 등에 관한 규정을 명시할 뿐만 아니라 기후보호의 개념을 넘어 기후위기의 ‘긴급한 필요성’ 개념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기후위기와 관련된 기본권침해에 따른 형평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입법적, 과학적, 사법적 책무를 다할 뿐만 아니라 기후기본권을 헌법상 보장하여야 한다. 또한 기후위기를 공법적으로 실효적으로 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에 관한 기후위기대응법을 제정하여야 하고, 기후위기대응법은 건축법, 국토계획법, 경제법, 재난안전법 등과 관련하여 지침적이고 상호보완적인 성격을 지니도록 하여야 하며 기후위기에 대한 명확한 법적 책임과 적법절차에 관한 규정하여야 한다. 또한 기후위기대응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 지방자치단체간, 국가간 협력이 절실히 요구되므로 기후거버넌스를 구축하여 기후변화감축기술과 기후위기대응전략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할 수 있는 법적 대응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기후위기에 따른 비용부담을 합리적으로 배분하기 위해서는 현세대와 미래세대에 대한 형평성과 비례원칙에 따라 쾌적한 환경에서 삶을 영위하도록 기후위기보호권을 법제도적으로 명확히 정립하여야 한다. 끝으로 기후변화위기와 위험에 대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기후비상선언과 비상계획, 행정명령에 의한 행정적 조치, 기후위기의 과학적 예측과 재해의 취약성 개선, 기후위기대응 역할과 법적책임도 공법에 반영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re implementing emissions trading systems and carbon neutral policies to reduce greenhouse gases. Nevertheless, the Earth is facing a climate crisis due to the increase in greenhouse gases generated from energy generation, steel and chemical industries, energy in the home and transportation, industrial processes such as cement, agriculture, and waste. The number of cases of youth and future generations filing climate lawsuits i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courts regarding the climate crisis is increasing, and the issue of guaranteeing basic climate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is becoming a social issue. Therefore, a public legal response is urgently needed so that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can protect the lives, bodies, and property of citizens in order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and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uarantee the right of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to live in a pleasant environment. In this paper, after examining the concept of climate crisis and Korea's climate crisis response legislation, we review legislative precedents and precedents in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Germany, and France to find implications for Korea. In addition, the provisions on climate crisis response are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guaranteeing basic climate rights to protect against damage caused by climate change, the role of the Climate Crisis Response Act, climate crisis response and cooperation through cooperative climate governance, and the freedom of the current generation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We review the role of public law by discussing emergency declarations and public law issues in response to the crisis of climate change, guaranteeing future generations' temporal climate crisis protection rights, and protecting future generations. For climate protection and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the Constitution should specify climate change reduction goals, basic climate rights, and cooperative measures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and legislatively consider the “urgent need” of the climate crisis beyond the concept of climate prote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ensure equity and fairness due to infringement of basic rights related to the climate crisis, basic climate rights should be guaranteed under the constitution as well as legislative, scientific, and judicial responsibilities. In addition, the Climate Crisis Response Act should be enacted on necessary measures to make the climate crisis effective by public law. The Climate Crisis Response Act shall be guided and complementary in relation to the Building Act, the National Territory Planning Act, the Economic Act, the Disaster Safety Act, etc., and shall prescribe clear legal responsibility and due process for the climate crisis. In addition, climate crisis response requires cooperation by establishing climate governance betwee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between countries, so climate change reduction technologies and climate crisis response strategies should be shared, and legal countermeasures should be prepared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in order to reasonably allocate the cost burden of the climate crisis, the right to protect the temporal climate crisis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legally and systematically to lead a life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equity and proportionality for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climate emergency declaration and emergency plans on climate change crises and risks, administrative measures under executive orders, scientific predictions of climate crises and improve the vulnerability of disasters, and the role and legal responsibilit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기후위기의 개념과 기후위기 대응 법제도
Ⅲ. 기후위기대응에 대한 공법의 역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욱. (2023).기후위기 대응과 공법의 역할. 국가법연구, 19 (4), 1-45

MLA

김남욱. "기후위기 대응과 공법의 역할." 국가법연구, 19.4(2023): 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