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고등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직업 전환역량 유형 연구

이용수 11

영문명
A Study on Types of Vocational Transition Competency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Latent Profile Analysi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배세진 박희찬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8권 제1호, 171~19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직업 전환역량에 대한 유형을 구분하고 각 프로파일별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환능력검사 본조사 실시 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에 있는 고등학교 발달장애학생 900명에 대한 직업 전환역량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직업 전환역량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은 ‘일상생활 자립 전환 집단’, ‘작업활동 전환 집단’, ‘보호고용 전환 집단’, ‘지원고용 전환 집단’, ‘일반고용 전환 집단’의 5개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각 프로파일은 직업 전환역량에 있어 전환능력검사의 지원 척도에 따라 전반적 지원, 확장적 지원, 제한적 지원, 간헐적 지원의 정도와 유사하였으며, 상호 교차되지 않는 형태의 그래프로 나타났다. 각 프로파일의 변인별 특성을 살펴보면, ‘지원고용 전환 집단’과 ‘일반고용 전환 집단’의 경우 특수학교보다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의 비율이 높았고, 자폐성장애보다 지적장애 학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현장에 존재하는 5개의 잠재프로파일에 적합한 전환목표 설정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필요성, 높은 지원이 필요한 직업 전환역량의 하위영역 발견, 배치유형과 장애유형에 적합한 교육지원 방안 등을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향후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oth classify the types of vocational transition competencie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file. To this end, using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primary survey of the transition competency assessment, a latent profile analysis on vocational transition competenc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900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ross the country. As a result, the latent profiles for vocational transition competency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independent daily living transition group’, ‘work activity transition group’, ‘sheltered employment transition group’, ‘supported employment transition group’, and ‘competitive employment transition group’. Each profile was similar to the degree of overall support, extended support, limited support, and intermittent support; this is according to the support scale of the transition competency assessment in terms of vocational transition competency, and was shown in a graph in the form of not crossing each other. Furthermore,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ariable in each profile, the ratio of students placed in special classes was higher than that of special schools, and the percentag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autism in the ‘supported employment transition group’ and ‘competitive employment transition group.’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need for transition goals, as well as a curriculum suitable for the five latent profiles that exist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the discovery of sub-areas of vocational transition competencies that require high support; and the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measures suitable for the type of placement and type of disability were all discussed. Futhermore future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세진,박희찬. (2023).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고등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직업 전환역량 유형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58 (1), 171-190

MLA

배세진,박희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고등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직업 전환역량 유형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58.1(2023): 171-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