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도립의원의 변화와 한계(1925-1945)

이용수 26

영문명
The Limits of Innovation: Provincial Hospitals in Colonial Korea, 1925-1945, with a Focus on the Role of Disease Control
발행기관
의료역사연구회
저자명
이방원
간행물 정보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제12집, 203~23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존재했던 도립의원의 기능 중 하나인 ‘질병 치료’를 중심으로 지방의료환경의 변화와 그 변화 속에 존재하였던 한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 도립의원은 해방되는 1945년까지 지방의중추 지방의료기관으로서 일본인과 조선인의 질병을 치료하였다. 해방기까지 전국에 설립된 46개의 도립의원의규모는 각각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나 지속적으로 의사수가 증가하고 진료분과도 세분화되었다. 도립의원의 전신인 자혜의원은 환자를 수가환자와 시료환자로 구분하고, 경제적으로 열악한 조선인들을 무료로 치료해주는규정을 제정하였으며 1912년부터는 순회진료도 시작하여 의료혜택이 미치는 못하는 벽지의 환자도 치료하였다. 그러나 1920년 이후, 1925년 도립의원으로의 전환 이후, 1930년대를 거치면서 조선인 시료환자가 도립의원에서치료받는 비율은 급감하여 1940년에는 3.75%가 되었으며, 순회진료도 시행하는 도립의원의 수와 그 빈도수가적어져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도립의원은 전염병, 모르핀 중독, 결핵 등 일반 병원에서치료하기 어려운 질병을 치료하는 거점 병원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였다. 전염병을 위한 격리병사는 설립 초기부터 설치하였으며, 전염병이 발발하면 환자를 격리 수용하였다. 그러나 대부분 도립의원의 전염병실은 수가환자를 위한 병실이었고, 안성과 평양의 도립의원만 전염병 시료환자를 위한 병상이 있었으며 그 수도 총 14개로매우 미미한 수준이었다. 모르핀 중독자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정책 수행으로, 1927년 이후 지정된 도립의원에서 모르핀 중독 환자를 강제 수용하여 몇 달에 걸려 치료하고 완치 판정 후 퇴원시켰다. 이런 과정을 거쳐 1930년대 후반에는 일제당국은 모르핀 중독 환자들이 없어졌다고 평가하였다. 결핵 환자를 위한 적극적인 국가의 정책은 1936년 시작되었다. 도립의원 중 결핵 환자를 위한 격리병실을 따로 설립한 도립의원들이 생겨나게 되었으나 당시 전국에 분포한결핵 환자 수에 비하면 그 병상 수가 매우 부족하였으며 결핵 시료환자를위한 병상은 전무하였다. 일제강점기 도립의원이 서구 의술을 경험할 수 있는 지방거점병원으로 질병치료를 위한 여러 활동을 수행하였으나, 의사소통의 문제와 민족적 차별로인해 조선인들이 받은 상대적 박탈감은 컸으며 당시 경제적으로 어려웠던조선인에게는 시료의 기회가 적어져 실질적인 혜택은 일제 당국이 표방했던것과는 큰 괴리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changes in the local medical environment and their limitations, focusing on “disease treatment,” one of the functions of provincial hospital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Until 1945, when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the provincial hospit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reated diseases of Japanese and Koreans as a central local medical institution. Until the liberation period, the size of each of the 46 provincial hospitals established nationwide varied widely, but the number of doctors continued to increase and the medical department was further subdivided. Jahye Hospital, the predecessor of the provincial hospital, classified patients into general patients who could afford to pay for the treatment and charity patients, enacted regulations to treat economically poor Koreans free of charge, and in 1912 began to provide circuit treatment for patients in remote areas without medical services. However, after 1920, after switching to a provincial clinic, after 1930, and after the end of the 1930s, the proportion of Koreans treated in provincial hospitals, most of whom were charity patients, plunged to 3.75 percent by 1941, and the number of clinics conducting circuit treatment decreased and became nominal. Provincial hospitals also played a role as a base hospital for treating diseases that were difficult to treat in general hospital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morphine addiction, and tuberculosis. Quarantine buildings for infectious diseases were installed from the beginning, and patients were quarantined when infectious diseases broke out. However, most of the quarantine rooms in the provincial hospitals were for general patients, and only the provincial hospitals in Anseong and Pyongyang had beds for charity patients with infectious disease, but their total number was only 14, which was very in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policy on morphine addicts in Korea, morphine-addicted patients were forcibly admitted to designated provincial clinics after 1927, treated for several months, and discharged after full recovery. Through this process, the Japanese authorities in the late 1930s estimated that morphine addicts had disappeared. An active national policy for tuberculosis patients began in 1936. Some provincial hospitals established separate isolation rooms for tuberculosis patients, but the number of beds was ver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number of tuberculosis patients distributed across the country at that time, and there were no beds for charity patients with tuberculosis. The provincial hospit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to treat diseases as a local hub hospital where people could experience Western medicine, but Koreans suffered from communication problems and ethnic discrimination, and the actual benefits were largely different from those advocated by the Japanese authorities as there were fewer opportunities for charity treatment for Koreans who were economically deprived at that time.

목차

1. 서론
2. 지방 의료환경의 변화
3. 도립의원 질병 치료기능의 한계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방원. (2023).일제강점기 도립의원의 변화와 한계(1925-1945).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 203-239

MLA

이방원. "일제강점기 도립의원의 변화와 한계(1925-1945)."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2023): 203-2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