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중언어적 공간을 향하여

이용수 70

영문명
Toward a Multilingual Space: A Critique of Franco Moretti’s Theory of World Literature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이선현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28권 3호, 101~13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프랑코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에 나타난 한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특히 모레티의 세계문학 ‘공간’으로의 이행에서 강조되는 단일언어주의에 반대하여 다중언어적 세계문학 공간을 제안한다. 모레티의 ‘멀리서 읽기’라는 새로운 비평적 읽기 방법은 미국 학계 내 논란이 될 만큼 파격적이었고 세계문학론의 전환점을 가져올 만큼 획기적이었으나 이제는 세계문학론의 다양한 비평 방법론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로 들어온 모레티의 이론은 디지털 인문학, 양적 연구, 인문과학의 성행과 더불어 학계의 주류적 연구로 간주된다. 이런 현실은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에 내재된 한계 역시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매뉴얼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론을 통해 세계문학 공간을 그리는 모레티에게 중요한 것은 불균등한 세계문학 공간을 ‘설명’하는 것이다. 세계문학론에는 세계문학 공간의 불평등을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불평등이 지속되는 논리를 비판하고 현실을 변화시키는 움직임도 필요하다. 가야트리스피박의 ‘행성성’과 에밀리 앱터의 ‘번역불가능성’ 개념은 모레티의 반대편에서 전 지구화의 동일성으로 점철된 세계가 아닌 다른 세계를 상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들이 다중언어주의를 통해 ‘문학 내 세계’를 탐구하는 데 주력한다면, 프란체스카오르시니의 대안적 관점은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에 내재한 단일언어주의를 비판하는 한편, ‘다중언어적 로컬’과 ‘의미있는 지리’라는 개념을 주장함으로써 ‘세계 내 문학’과 ‘문학 내 세계’의 관계를 풀고 또 엮으며 세계를 만들어간다. 오르시니의 세계문학에 관한 주장은 수많은 독립적인 로컬적 문학 공간을 활성화함으로써 위계적인 중심과 주변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참조점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을 종적 다양성으로 존재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재위치시키고 세계문학을 보다 풍성하게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ndeavors to undertake a critical examination of Franco Moretti’s theory of world literature, elucidating its limitations, and subsequently proposing an alternative approach. Specifically, it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multilingual world literary framework as a counterpoint to the monolingualism emphasized within Moretti’s conception of a world literary ‘space.’ While Moretti’s pioneering “distant reading” method once sparked controversy and marked a transformative juncture in the field of world literature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it has since evolved into one among several critical methodologies in the discipline. In Korea, conversely, Moretti’s theory has attained mainstream recognition within academic research. This prevalence, coinciding with the ascent of digital humanities, quantitative research,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may inadvertently lead to an uncritical acceptance of the inherent limitations within Moretti’s theory of world literature. For Moretti, who draws inspiration from Immanuel Wallerstein’s world system theory to conceptualize the world literary space, the paramount objective is to ‘explain’ the complexities of ‘one and unequal’ global literary landscape. However, world literature theory should not only seek to ‘explain’ the unevenness within the world literature space but also engage in a critical analysis of the mechanisms perpetuating these inequalities, ultimately striving to effect change. In this regard, Gayatri Spivak’s notion of ‘planetarity’ and Emily Aptor’s concept of ‘untranslatability’ offer valuable insights, enabling us to envision a multilingual world distinct from the homogeneity often associated with globalization. While their focus centers on exploring the presence of the ‘world in literature,’ Francesca Orsini’s alternative perspective offers a critique of the inherent monolingualism within Moretti’s theory while advocating for the adoption of the concepts of ‘multilingual local’ and ‘significant geographies’ to unravel and elucid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in the world’ and the ‘world in literature.’ Orsini’s argument may provide a reference point for critically engaging with hierarchical center-periphery dynamics by empowering numerous independent local voices. This approach can enable us to reposition Moretti’s theory of world literature as one of the available methodologies, paving the way for a more nuanced and enriched understanding of world literature.

목차

1. ‘시간’에서 ‘시공간’으로
2. 세계문학 공간과 단일언어주의
3. 다중언어적 세계 만들기
4. 결론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현. (2023).다중언어적 공간을 향하여. 비평과 이론, 28 (3), 101-137

MLA

이선현. "다중언어적 공간을 향하여." 비평과 이론, 28.3(2023): 101-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