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60~1970년대 선거를 통해 보는 마을공동체와 민주공화당의 관계

이용수 88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 Democratic Republican Party through election culture of the 1960s and 1970s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양윤주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106집, 243~27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평택, 임실, 김천의 농민일기를 통해 1960~1970년대 마을공동체와 민주공화당의 관계를 살펴본 것이다. 선거운동을 하는 유력자와 군·당, 그리고 유권자인 주민들의 관계를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4.19는 농민들에게도 민주주의와 공명선거에 대한 의미를 알려준 계기였다. 그러나 1960년대 중반 경제호황으로 인해 1967년 총선에서 공화당은 개발 공약을 남발했고, 이에 따라경제적으로 소외된 농민들이 여당을 지지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평택같이 야당세가 강했던 곳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유력자들은 마을 대표로 군과 당에 접촉해시멘트나 현금을 지원받았고, 이에 따라 교량이나 저수지, 농로 확장 등 기초시설 공사가 진행될 수 있었다. 그러나 여당의 대규모 지원에도 1971년 총선에서야당이 선전했고, 이듬해 박정희는 10월 유신을 단행했다. 이때부터 대선은 간선제로, 총선은 중선거구제로 바뀌었고, 국회의원 3분의 1은 대통령이 임명함으로써 선거는 민의를 제대로 반영할 수 없었다. 게다가 1972년 새 선거법으로 인해 선거문화가 침체되어 총선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이 떨어지게 되었다. 이제주민들의 관심사는 선거보다는 어느 후보가 돈을 많이 쓰는지였고, 유력자들의선거운동도 돈봉투를 돌리거나 부정투표에 가담하는 일뿐이었다. 유신정권기말 이중곡가제 완화와 ‘노풍’으로 인해 정부에 대한 신뢰는 매우 떨어져 있었다. 그러나 유력자들은 공화당과 오래 이해관계가 되어 있었고, 장기 집권에 대해불만이 있어도 공개적으로 여당을 비판하지 않았다. 이는 유력자들을 마을 지도자보다는 관이나 당을 대변하는 사람으로 인식시켜 줄 수 있었다. 정당의 선거운동이 후퇴하는 사이, 주민들은 더이상 유력자만 따르기보다는 전략적으로 투표해 지역사회가 변화·발전하기를 바라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 Democratic Republican Party in the 1960s and 1970s through farmers’ diaries in Pyeongtaek, Imsil, and Gimcheon. It'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tial people who campaign, the county and the party, and the residents who are voters. Due to the economic boom, the Republican Party overplayed its development pledges in the 1967 general elections, forcing farmers in underdeveloped regions to support the ruling party. Influential people contacted the county and the ruling party as village representatives and accordingly, construction of basic facilities. However, the opposition party did well in the 1971 general election, and the following year, Park Chung-hee carried out the October Yushin. The election culture was depressed by the new National Assembly Election Act in 1972, which reduced residents' interest in the general election. From now on the residents' concern was which candidate would spend more money, and the only campaign of influential figures was to participate in fraudulent voting. This allowed influential people to be perceived as representatives of the government or the party rather than as village leaders. While the party's campaign was retreating, residents were hoping that the community would change and develop by voting strategically rather than just following the influence.

목차

1. 머리말
2. 1960년대 쿠데타와 ‘망국 선거’
3. 1970년대 유신체제기와 돈 선거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윤주. (2023).1960~1970년대 선거를 통해 보는 마을공동체와 민주공화당의 관계. 한국근현대사연구, (), 243-278

MLA

양윤주. "1960~1970년대 선거를 통해 보는 마을공동체와 민주공화당의 관계." 한국근현대사연구, (2023): 243-2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