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인의 역할모호성과 조직의 목표명확성이 조직성과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22

영문명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Individual Role Ambiguity and Organizational Goal Clarity On Organizational and Work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J FIT and P-O FIT
발행기관
한국인사행정학회
저자명
이가빈 하선우 박성민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2권 제3호, 93~132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접어들면서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전반적인 산업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소위 뉴노멀(new normal)현상이 대두하였다. 이렇듯 지속해서 변화하는 행정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늘어나는 공공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공공조직의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공공조직의 새로운 목표와 전략 수립은 구성원들의 혼란을 불러오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행정연구원의 ‘2021년도 공직생활실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공조직의 역할모호성 및 목표명확성이 조직성과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더하여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이 역할모호성 및 목표명확성과 성과 간 관계를 매개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목표명확성은 업무성과와 조직성과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역할모호성은 조직성과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매개효과에 대해서는 개인-직무 적합성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모두 유의미하게 간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조직 적합성은 역할모호성・목표명확성과 조직성과 사이는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업무성과와의 관계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직사회의 효과적인 성과관리 및 인사관리 전략에 대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post-COVID-19 era, the so-called new normal phenomenon has emerged as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nd the whole industry paradigm has shifted. In order to flexibly cope with this constantly changing administrative environment and solve increasing public challenges, new approaches to create long-term public organization performance have been emphasized. In addition to this interest, public administration scholars have recently begun to focus on organizational goals and job characteristics as important determinants of performance, and have argued that this relationship may vary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al contex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role ambiguity and goal clar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work performance in public organizations using data from the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Institute of Korea's '2021 Survey of Public Life', and further examined whether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i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goal clarity and 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that goal clar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role ambigu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for the mediation effect, personal-job fit significantly indirectly mediated both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personal-organizational fit was found to mediate between role ambiguity, goal clar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not work performance, which did not prove significance.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performance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public secto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가빈,하선우,박성민. (2023).개인의 역할모호성과 조직의 목표명확성이 조직성과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2 (3), 93-132

MLA

이가빈,하선우,박성민. "개인의 역할모호성과 조직의 목표명확성이 조직성과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2.3(2023): 93-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