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不俗’의 심미성 추구
이용수 35
- 영문명
- Pursuing the Aesthetics of ‘non-vulgarization’: Focusing on Shanshuichunquanji by Han Zhuo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저자명
- 김연주
- 간행물 정보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42권 3호, 163~19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徽宗 宣和 3年(1121)에 저술된 韓拙의 『山水純全集』을 통해 畵院畫家가 추구했던 산수화 창작 및 비평의식에 내포된 ‘不俗’의 심미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雅俗’의 개념은 宋代에 품평어로 활발하게 사용되었고, 특히 ‘不俗’의 가치는 문인사대부의 詩·書·畵 창작에서 ‘寫意’를 중시하며 平淡美를 추구하도록 하였다. 화원화가 였던 한졸은 畵道로 나아가기 위해 古法에 의한 格法을 중시하며 ‘不俗’을 추구한다. 한졸은 詩語의 畫意로의 치환 및 筆墨運用의 숙련도를 강조하며, 儒家的 雅와 세련된 미감을 갖추기 위해 ‘學’을 중시하였다. 송대 문인들은 사회적 지위에 의한 인격의 발현으로서 그림에 드러나는 氣韻은 배울 수 없다고 본 것에 반해서, 한졸은 學習을 통해 格을 갖추고 畵理를 터득하며 배움을 궁구하는 것에 의해 산수화에 대한 ‘不俗’의 심미성은 성취될 수 있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esthetic value of ‘non-vulgarization(不 俗)’ contained in the creation and criticism of landscape paintings pursued by Han Zhuo’s Shanshuichunquanji(2011), Huizong(徽宗) Xuanhe(宣和) 3rd year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concept of ‘elegant and vulgar(雅 俗)’ was put to use as an evaluation language. The value of ‘nonvulgarization’ emphasized the expression of intention in the creation of poems, calligraphy and painting by literary men, and pursued natural and plain beauty. In comparison, Han Zhuo pursues ‘non-vulgarization’ by emphasizing the old law in order to proceed to Tao in painting. Han Zhuo expressed not only the cultivation of learning but also the replacement of poetry with a painting’s implied meaning and the proficiency of brushing, Furthermore, he emphasized “learning” in order to have a sophisticated aesthetic with the Confucian method. Despite the fact that the literary men at the time considered that the character of the painting was congenital and could not be learned as a manifestation of personality due to social status, Han Zhuo believed that the aesthetics of “non-vulgarization” for landscape painting could be achieved by learning, learning the method of painting, and seeking learning.
목차
Ⅰ. 머리말
Ⅱ. ‘雅’와 ‘俗’의 의미변천과 畵評에의 적용
Ⅲ. 韓拙의 『山水純全集』과 ‘不俗’의 추구
Ⅳ. 맺음말: 不俗에 의한 韓拙의 심미추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