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적벽가>의 장르 변용을 통한 재창조와 창작소재로의 활용양상
이용수 10
- 영문명
- Transformation of Genre for recreation of
and Applications as creative subject matter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저자명
- 김기형
- 간행물 정보
- 『판소리연구』제22집, 7~2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0.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적벽가>의 주요 특징으로, 웅장하고 호방한 소리, <삼국지연의>와 구별되는 <적벽가>만의 독자적인 세계, 시대에 따라 늘 재해석될 수 있는 깊이 있는 주제의식 등을 꼽을 수 있다. <적벽가>가 장르 변용을 통해 재창조되었거나 창작 소재로 활용되는 사례가 여타의 전승 판소리 작품과 비교하여 그다지 많다고 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성과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가능성을 점검해 보는 일은 매우 긴요한 작업이다. 그동안 <적벽가>는 창극, 마당놀이, 창작극 등의 갈래로 거듭 재창조되면서 새로운 의미 영역을 개척해 왔다. 그렇지만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적벽가>의 장르 변용을 통한 재창조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적벽가>의 창극 공연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은 방대한 전쟁 상황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하는 데 있었다. 지금까지 공연된 창극 <적벽가>를 보면, 판소리 <적벽가>의 음악어법을 거의 그대로 수용하여 소리를 짰다. <적벽가>는 무대화하기가 무척 난해한 것으로 정평이 났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적벽가>를 창극화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창극 양식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적벽가>는 창극 이외에 갈래 변용을 통해 마당놀이 <삼국지>, 창작극 <난세 조조> 등으로 공연되기도 하였다.<적벽가>는 창작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하였는데, 사설을 문맥에 맞게 차용하거나 부분적으로 변용하여 수용하는 경우, 남성적이고 웅건한 창법을 활용하는 경우, 전쟁(싸움) 이야기를 활용하는 경우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오월 광주>, <스타크래프트 초반대전>, <대고구려>, <광시 적벽가> 등에서 그러한 활용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전통예술 - 특히 판소리에 기반하여 새로운 예술 작품을 창작할 때 <적벽가>는 창작의 소재로 긴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전쟁과 관련된 작품 혹은 음악적으로 호방하고 웅장한 소릿조가 필요할 때, <적벽가>는 창작의 원천으로서 중요한 소재가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ransformation of Genre for recreation of and Applications as creative subject matterKim, Kee HyungThe issue of 's recreation can be separated into a subject of Transformation of Genre and Possibility that is useful to create a new work of art. is still recognized meaningful text in these days by recreations through continuous Transformation of Genre.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 recreation of through Transformation of Genre goes on actively. It is still valuable as a Classical literature to bear new construction over the era. ―Chinese novel preceding ― has already acquired universality as a Classic in East-asia, and has been comprehended a literary work which recreated in the same field of universal value.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work to recreate is how to analyze the theme. I tried to present following 3 points of view to analyze .
목차
1. 머리말
2. 장르 변용을 통한 재창조
3. 창작소재로의 활용양상
4.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논문 투고 규정
- 동편제 <적벽가>의 전승과 변모
- 판소리학회 회칙
- ‘판소리 학술상’ 제정 및 수여에 관한 규정
- 편집위원회 및 논문 심사 규정
- 박초월 바디 <수궁가>의 전승과 변모 양상
- 판소리 문화 콘텐츠에 관한 연구
- 신재효 판소리 사설의 서술자 개입 양상과 지평전환
- 남성 작가의 <춘향전> 수용과 향유 방식
- 송만갑 <이별가>의 사설 변화와 그 특성
- 판소리 청관중의 가창참여 방법에 대한 고찰
- 1940~1950년대의 판소리 음악문화 연구
- <별춘향전>(완판 29장본) 연구
- 남원 춘향제의 현황과 개선 방안
- <적벽가>를 통해서 본 웃음의 형식과 그 의미
- <적벽가>의 대칭적 구조와 완결성 문제
- <적벽가>의 장르 변용을 통한 재창조와 창작소재로의 활용양상
- 창작 판소리 사설 <서동가>
- 발간사
- <적벽가>창본의 극적 갈등양상과 의미
- 판소리학회 연혁과 활동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