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도근 춘향가 연구

이용수 10

영문명
A Study of Kang Dokeun’s Chunhyangga:From the Introduction to Jeokseongga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신은주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53집, 217~263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강도근이 보유하였던 춘향가는 송만갑제로, 김정문에게 춘향가 일부를 배운 후 서울의 조선성악연구회에서 송만갑에게 춘향가 전바탕을 배웠으며, 송만갑 사후에는 박봉채에게도 소리를 배웠다. 강도근의 춘향가는 『강도근 5가전집』에 전바탕 사설만 전하는데, 이 사설 역시 강도근의 제자들을 통해 재구성한 것이고, 채워지지 못한 부분은 박봉술 춘향가의 노랫말을 참고하여 보완하였다. 그의 춘향가 음원은 전하지 않으며, 소리를 이어 활동하고 있는 제자도 없다. 본 연구는 그가 보유하였던 춘향가에 대한 연구로, 남원시와 전북대학교가 공동으로 2021년 발매한 음반 「강도근 구술과 판소리-춘향가, 수궁가, 흥보가」를 대상으로 한다. 이 음반에는 정회천이 개인 소장하고 있던 강도근이 부른 춘향가 도입부부터 <적성가> 부분까지의 음원이 담겨있다. 그리고 1993년 삼성전자에서 LD형태로 제작된 「혼의소리-동편제의 거장 강도근」 에 담긴 강도근의 <저건너/적성가>, <어사출도> 두 대목의 음원도 참고하였다. 이를 통해 강도근 춘향가의 사설 및 음악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강도근 음반의 사설과 『강도근 5가전집』에 기록된 사설이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도입 부분에서 이몽룡에 대하여 묘사하는 진양조장단의 소리 대목은 음원에는 담겨있지 않으나 제자를 통해 동일한 사설을 소리로 불렀음을 확인하였고, 그 외에 <기산영수>, <동문밖>, <나귀안장>, <저건너/적성가>, <어사출도> 부분의 사설이 거의 일치하였다. 그러나 강도근의 춘향가 사설을 동편제 박봉술 춘향가의 사설과 비교하여 보면 서로 다른 점이 많고, 역시 동편 소리인 이선유 및 김세종제와도 차이가 있다. 박봉술의 춘향가와 구별되는 강도근 춘향가가 가지고 있는 사설적 특징들은 대체로 김연수 춘향가와 유사한데, 김연수에게서 직접 강도근이 영향을 받은 것인지, 다른 경로로 강도근 춘향가에 변화가 일어난 것인지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가 필요하다. 강도근 춘향가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은, 한 곡 안에서 비교적 넓은 음역을 사용하여 노래한다는 점이다. 자유롭게 주음의 위치를 이동하며 소리하는 강도근의 스타일은, 판소리의 일반적인 청(주음)의 이동 방식과도 차이가 있다. 때문에 강도근의 노래는 듣는 이가 흔히 기대하는 음으로의 이동이 아니라, 전혀 생경하게 들리기도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이 된 노래들은 모두 평조와 우조를 사용하여 선율을 구사하는 곡들이되, 음을 떨어주며 소리하는 요성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강도근은 전반적으로 통성으로 소리하고, 호기롭게 부르는 특징을 보이며, 단조로운 리듬(붙임새)을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이에, 강도근의 춘향가는 기교 중심의 서편제와는 확연히 차이를 보이고, 전반적인 분위기에서 동편제 판소리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영문 초록

Kang Dokeun was a representative P’ansori singer from the Namwon region during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He mastered authentic Dongpyeonje, which he learned from 20th century Namwon P’ansori culture and fostered several pupils, including AnSooksun, JunInsam, and LeeNancho. He was designated holder of P’ansori Heungboga(the 5th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1988. Heungboga, which he taught to his pupils, is actively sung today. However, KangDokeun possessed the knowledge of all five P’ansori (Chunhyangga, Simcheongga, Sugungga, Jeokbyeokga, Heungboga). Neither does any recorded evidence of Kang Dokeun’s Chunhyangga remain nor do records exist that contain short sound clips of its portions. Therefore, no conclusive study has been conducted of Kang Dokeun’s Chunhyangga; only its lyrics have been recorded in 『Kang Dokeun 5 ga full collection』 (P’ansori five batang full collection) by Kim Gihyung. The lyrics were reorganized by his pupils and the parts that were not filled were complemented by referring to the lyrics of Park Bongsul’s Chunhyangga. This study is of Chunhyangga, which he possessed, and focuses on 「Kang Dokeun oral statement and P’ansori-Chunhyangga, Sugungga, Heungboga」, an album released by Namwon City and Jeon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1. The album contains sound source ranging from the introduction of Chunhyangga to Jeokseongga possessed by Professor Chung Hoechun. Additionally, this study explores the sound source of Kang Dokeun’s Jeokseongga and Eosachudo (the scene where the royal secret investigator appears) contained in 「Sound of Spirit -Kang Dokeun, master of Dongpyeonje」, which was produced in LD form by Samsung Electronics in 1993. Based on these sources, this study examines the lyric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of Kang Dokeun’s Chunhyangga. Results reveal that the lyrics in the album of Kang Dokeun and the lyrics recorded in 『Kang Dokeun 5 ga full collection』, are in almost complete accordance with each other.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presence of parts that used Jinyangjo Jangdan that Lee Mongryong described in introduction; however, lyrics in Gisanyeongsu, Dongmunbak (Outside the Eastern Door), Naguianjang (Saddle of Donkey), Jeokseongga, and Eosachudo almost coincide. However, when comparing the lyrics of Kang Dokeun’s Chunhyangga and Park Bongsul’s Chunhyangga. The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 the two are largely similar to those of Kim Yeonsu’s Chunhyangga. Whether Kang Dokeun was directly influenced by Kim Yeonsu or whether Kang Dokeun’s Chunhyangga changed through other paths needs further discussion. The strongest characteristic of the music of Kang Dokeun’s Chunhyangga is that a relatively wide range is used in one piece. Kang Dokeun’s style, with is different from the movement method of the general chung (main sound) in P’ansori. Therefore his song sounds unfamiliar, commonly expects . Furthermore, all the songs examined in this study use Pyeongjo and Ujo to express melody; however, their vibrato is remarkable. However, Kang Dokeun’s P’ansori heartily sings with Tongseong and uses monotonous rhythms (butimsae) repeatedly. Therefore, Kang Dokeun’s Chunhyangga is definitely different from the technique-centered Seopyeonje and shares several aspects of Dongpyeonje in terms of the overall atmosphere.

목차

1. 머리말
2. 강도근 춘향가 사설 분석
3. 강도근 춘향가 음악 분석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은주. (2022).강도근 춘향가 연구. 판소리연구, (), 217-263

MLA

신은주. "강도근 춘향가 연구." 판소리연구, (2022): 217-2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