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기 국악원의 정치적・문화적 지향성 변화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Changes in Political and Cultural Orientation of Gugak Center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백현미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53집, 163~216쪽, 전체 5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9,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설립기(1945.8-1946.1)에 ‘국악’과 ‘가극’이라는 명칭이 등장했다. 국악원 강령에서 ‘국악’은 ‘민속악과 아악을 물론한 악’으로 개념화되었다. 국악원의 창립 공연 <춘향전>은 아악계 악사들의 기악 연주와 춤 그리고 조선고전음악연구회 회원들의 창악이 총체적으로 결합되었고, ‘가극’으로 홍보되었다. 첫 번째 전환기(1946.2~1947.8), 국악원은 민속악 중심 조직으로 개편되었고, 문련 산하 단체로서 좌익계와 연결된 문화행사에 참여했다. 이 즈음 창악인들의 창극은 국극으로 호명되었고, 국악원은 전국 단위의 농악대회를 주최했다. 두 번째 전환기(1947.8~1950.6), 국악원은 정부의 후원을 받는 무대예술원 및 문총과 연계되어 활동했고, 국가 행사에 적극 참여했다. 창극을 ‘민족오페라’라고 홍보했고, 전국 단위의 민요대회를 개최했고, 국악무대예술가자격심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국악’의 개념 형성과, 국악원을 매개로 한 아악과 민속악의 통합 시도와 갈등 그리고 분리 상황을 확인했다. 또한 원장 교체기를 전후해, 국악원의 정치적 색채가 좌익계에서 우익계로 변화했음을 확인했다. 국악원이 주최한 창극 공연은 가극으로, 국극으로, 그리고 민족오페라로 불렸다. 가극이라는 명칭이 음악극으로서의 변별성을 강조했다면, 국극이나 민족오페라라는 명칭은 해방기야말로 예술의 정치화 시대임을 강력하게 드러내었다.

영문 초록

Founded shortly after liberation, the Gugak Center, an organization representing the Korean traditional art world, was maintained amid political and cultural conflicts caused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Office and the Republic of Kore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litical and cultural orientation of performances and events hosted or participated by the Gugak Center (국악원, Korean Traditional Music Center). During the founding period (1945.8-1946.1) of the Gugak Center, the term Gugak (국악,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Gaguk (가극) had begun to be used. In the Gugak Center's code, Gugak was conceptualized as including folk music and Aak (아악, Korean court music). The commemorative performance of the Gugak Center was promoted as Gaguk which combined playing instruments and dancing by Aak musicians with performing by members of the Joseon Classic Music Research Association (조선고전음악연구회). During the first transition period (1946.2-1947.8), the Gugak Center was reorganized into a folk music-centered organization and participated in cultural events connected to the leftist ideology. The Changgeuk was called Gukgeuk (국극), and the Gugak Center hosted several national Nongak (농악) competitions. During the second transition period (1947.8-1950.6), the Gugak Center maintained connection to the rightist ideolog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national events. The Gugak Center promoted Changgeuk as a ‘“National Opera” (민족오페라), held several national folk song competitions and conducted the “Examination of Qualification of Gugak performer.” In this article, we confirmed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Gugak and the separation process of Aak and folk music that were conducted through the Gugak Center. The Changgeuk performance hosted by the Gugak Center was renamed from Gaguk, to Gukgeuk and thereafter to National Opera. If the term Gaguk emphasized the distinctiveness as a musical play, the term Gukgeuk or National Opera strongly revealed that the era of liberation was the era of politicization of art.

목차

1. 들어가는 글
2. 국악원 창립과 조선고전음악연구회의 찬조출연
3. 좌익계와의 연계와 ‘국극’
4. 정부(의) 후원과 ‘민족오페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현미. (2022).해방기 국악원의 정치적・문화적 지향성 변화. 판소리연구, (), 163-216

MLA

백현미. "해방기 국악원의 정치적・문화적 지향성 변화." 판소리연구, (2022): 163-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