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선웅 창극의 민화적 요소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Key elements of Minhwa in Go seon-woong’s Changgeuk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곽병창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50집, 75~120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1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선웅이 그 동안 발표한 창극 두 편은 모두 공연계에 적지 않은 충격과자극을 남겼다. 두 작품은 모두 고전 판소리를 재해석하여 스스로 극본을 쓰고 연출한 것이다. 그의 작품들은 원작의 줄거리와 인물, 사건 등을 독창적으로 비틀어서 그 나름의 세계관과 미학적 관점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두 편의 창극은 조선 후기 왕성하게 창작, 유통되었던 민화의 여러 요소들을 계승한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후기의 민화는 새로 등장한 대중적 수용자 층의 욕구를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민화에 대한 대중적 수요가 커져가던 조선 후기와 창극 관객들의 구성과 취향 변화가 일어난 2000년대는 서로 일맥상통한다. 이 글에서는 고선웅의 창극 두 편에 담긴 민화적 요소들을 찾아보고 작가이자 연출가인 그가 추구하고 있는 연극적 지향점과 연출적 의장(意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그의 작품에 새로 등장하는 인물(주인공)들은 민화에서와 마찬가지로 인정 욕망과 영생에의 욕망을 동시에 지닌 존재들이라 파악하였다. 인정욕망은 주로 ‘장자 노릇(흥보)’과 ‘아내 노릇(옹녀)’에의 강박관념으로 드러난다. 2. 플롯 상으로는 두 작품 모두에서 시공간을 의도적으로 역전, 병치하거나재배치함으로써 객관적 질서를 교란하는 민화적 기법을 엿볼 수 있다. 뿐만아니라 그가 즐겨 사용하는 무대화 기법은 사각프레임을 활용한 역원근법, 불필요한 사실적 디테일의 생략, 상징적 이미지의 활용 등 민화적 기법이 즐겨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판소리의 ‘성음 놀음’과 견주어 이를 창극의 ‘시점 놀음’이라 불러도 좋을 것이다. 3. 인물, 플롯, 시청각 요소들에서의 이와 같은 요소들은 민화에 담긴 고전적이고 복합적인 가치관을 드러내는 데 유효한 장치들이다. 그가 두 편의 창극에서 활용하고 있는 연극적 의장(device)들은, 선악, 시비의 엄정한 분별보다는, 사랑과 평화를 강조하고 과도한 욕망을 절제하여 마음을 비워내는 것이 행복에의 지름길이라는 민화적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데 적절하게 쓰이고 있다.

영문 초록

Go seon-woong’s Changgeuk(Korean Traditional Opera), 「Madame Ong」(Nat’l Changgeuk Company, premere 2014, 2015~2019 performed annually) and 「Mr. Heungbo」(Nat’l Changgeuk Company, 2017, 2018) remained shock and stimulus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Both plays are a kind of parody based on the classic pansori, and reveal the author/director’s unique vision and aesthetic creativity. These works included several elements of ‘Minwha’ (people’s painting) that were vividly created and consumed in the late Cho-seon dynasty. Minhwa reflected the desires of the newly emerged class. The late Cho-seon era has connections to the post- millenium era; after 2000, there is significant change in the components and tastes of a Changgeuk spectator. The main texts of this study are playscript 「Madame Ong」(Yedang version, 2018) and 「Mr. Heungbo」(Myeongdong theater version, 2018) This article tried to scrutinize several elements of Minhwa in two works, and analyzed author’s theatrical vision and directorial devi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Newly shaped characters in the two works desire recognition and immortality. Desire for recognition is expressed as Heungbo’s ‘first son complex’ in 「Mr Heungbo」, and Madame Ong’s ‘ordinary wife complex’ in 「Madame Ong」. 2. In the plot of the two plays, we can find some techniques of Minhwa, such as reversion and juxtaposition. These techniques destroy the objective order of time and space. With his favorite mis-en-scene and character blocking, symbolic images on screen, contra-perspective, and rectangular framing, both works successfully show features of Minhwa. This can be called ‘sijeom-noreum’ (viewpoint game). 3. There is coexistence of classical confucianism and secularism in Minhwa. Go seon-woong’s devices, such as twisted characters, reversed plot, and various audio-visual elements, are well utilized in both works to express Minhwa‘s ambiguous ideas.

목차

1. 들어가며
2. 고전적인 인물과 복합적 주제의식
3. 시공의 객관성에 대한 저항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병창. (2020).고선웅 창극의 민화적 요소 연구. 판소리연구, (), 75-120

MLA

곽병창. "고선웅 창극의 민화적 요소 연구." 판소리연구, (2020): 75-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