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월북 국악인 조상선의 창극 활동과 의미

이용수 4

영문명
The changgeuk activities of the national musician Jo Sang-seon, who went to North Korea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이태화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45집, 331~371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남한에서 해금된 지 30년이 되었지만 여전히 낯선 국악인인 조상선에 주목했다. 그의 창극 활동이 판소리사에서 어떤 의미로 읽혀야 할지 돌아보았고, 그간 산만하게 알려진 인물 정보에 대해서도 다시 검토했다. 조상선은 1909년 3월 11일 전라북도 남원에서 출생했으며, 본명은 조상기이다. 그가 정정렬의 수제자이자 그의 뒤를 잇는 창극계의 실력자였다는 사실은 비교적 익히 알려져 있으나, 어린 시절의 스승이 누구인지는 분명히 확인되지 않는다. 창극 배우로서의 조상선은 주로 조역으로 출연했지만, 1930년대 후반부터 창작과 연출에 큰 관심을 보였다. 1940년대에 들어서 화랑창극단과 동일창극단에서 다양한 창극 음악을 새롭게 시도했다. 그의 작업은 그가 월북한 이후로도 창극 배우들, 특히 여성국극의 전성기에 활동했던 제자들에 의해 자연스럽게 전승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해방 이후 조상선은 국악원 산하의 창극단인 국극사의 대표이사를 맡을 만큼 창극계의 대표적인 인물로 활동했다. 창극 배우뿐 아니라 작곡가·연출가·안무가 등으로 활동 영역을 넓혀 갔다. 창극 창작의 거의 모든 요소들을 두루 경험하면서 가장 노련한 창작자로 거듭났다. 여성국극의 시대가 열리자 조상선의 활약은 더욱 도드라졌다. 여성국극 초기의 대표적인 작품들의 작곡을 조상선이 맡았다. 그는 전쟁이 나고 얼마 후 월북했기 때문에 더 이상 여성국극 공연에 참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여성국극이 1950년대에 전성기를 누리는 가운데 조상선이 구축했던 초창기의 작업 흔적은 면면히 유지되었을 것이다. 조상선의 왕성한 창작 활동은 월북 이후 1950년대 내내 이어졌다. 그 10년간의 성과가 북한 창극계에 미친 영향력은 1959년에 받은 인민배우 칭호로 단번에 설명된다. 그런데 현대적 창극 양식의 정립을 모색하는 자리에서 그의 작품은 김일성의 선택을 받지 못했다. 판소리 식의 가창 방식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게다가 판소리의 탁한 발성을 김일성이 매우 싫어했는데, 그런 점도 계속 작용하여 남도창 기반의 창극은 현대 대중의 정서에 맞지 않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조상선은 월북하기 전부터 창극 음악의 변화를 주도했던 인물이다. 탁하지 않은 발성이나 극적인 선율 구성을 시도하였고, 특히 여성국극의 음악에서 대단한 흥행으로 성과를 이루어냈다. 따라서 조상선으로서는 남도창 기반이라는 이유로 창극이 평가절하 되는 상황을 보면서, 판소리의 발성법이나 창극 발전을 위한 전망을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조상선의 글 두 편에 주목하여 그의 생애와 예술관을 되돌아보는 계기를 만들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Jo Sang-seon (趙相鮮) used to be banned in South Korea. Although it has been 30 years since this ban was lifted, he remains unfamiliar to us. This paper re-examines the role that his changgeuk (唱劇, traditional Korean opera) activities have played in the history of pansori. This paper also reviews unconfirmed details about his life. Jo Sang-seon was born on March 11, 1909 in Namwon, Jeollabuk-do Province as Jo Sang-gie(趙相基). It is relatively well-known that he was Jeong Jeong-yeol’s greatest disciple and a good musician,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his teacher. It is not clear who Jo Sang-seon's childhood teacher was. As a changgeuk actor, Jo Sang-seon mainly appeared in supporting roles. From the late 1930s onwards, he showed significant interest in creating and directing changgeuk plays. In the 1940s, he tried various new genres of music at the Dong-il Changgeuk Company and the Hwa-rang Changgeuk Company. His work has been continued by changgeuk actors, especially his disciples, who were active in the prime years of yeoseonggukgeuk (女性國劇, changgeuk by women) after he went to North Korea. As Korea was liberated, Jo Sang-seon acted as a representative figure in the world of changgeuk and as the representative director of Gukgeuksa (國劇社), a changgeuk company which was part of the Gukakwon (國樂院, Korean National Music Center). He not only developed as a changgeuk actor, but also evolved as a composer, director, and choreographer. He grew to be one of changgeuk’s most seasoned producers, experiencing almost all the elements of its creation. During the era of yeoseonggukgeuk, Sang-seon’s remarkable performance gained even more prominence. He composed the representative works of early yeoseonggukgeuk. However, he could no longer participate in the growth of yeoseonggukgeuk because he went to North Korea shortly after the war. In the early 1950s, however, when yeoseonggukgeuk was in its heyday, Sang-seon's earliest work left its mark and is still remembered today. Sang-seon’s vigorous creative activity continued throughout the 1950s, even after he went to North Korea. The influence of his achievements on the North Korean changgeuk system during this decade is evidenced by the title of “People's Actor,” which he was awarded in 1959. However, his work was not well-received by Kim Il-sung, who sought to establish a modern form of changgeuk. It was pointed out that Sang-seon’s was influenced by pansori singing. Kim Il-sung disliked the turbid voices of pansori; thus, he concluded that pansori-based changgeuk was not a good fit with the public’s emotions. Nevertheless, Jo Sang-seon led changes in changgeuk music before going to North Korea. He tried to incorporate clear voices and dramatic melodies, and achieved great results, especially through the popularity of yeoseonggukgeu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pansori vocalization method and prospects for its development in changgeuk, as changgeuk became unappreciated because of being grounded in pansori. In this paper, I focus on two articles by Jo Sang-seon that correspond to this subject, and have attempted to look back on his life and art.

목차

1. 머리말
2. 인물 정보 검토
3. 해방 이전의 활동
4. 해방공간에서의 활동
5. 월북 이후의 창작 활동과 문제의식
6. 발성법 논쟁에 대한 조상선의 입장
7.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화. (2018).월북 국악인 조상선의 창극 활동과 의미. 판소리연구, (), 331-371

MLA

이태화. "월북 국악인 조상선의 창극 활동과 의미." 판소리연구, (2018): 331-3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