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제강점기 강소춘과 신금홍 명창의 예술활동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the Art Activities of Gang Sochun and Sin Geumh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저자명
- 김석배
- 간행물 정보
- 『판소리연구』제45집, 5~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1900-1930년대에 활동한 여류명창 강소춘과 신금홍의 예술활동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 대구지역의 판소리문화를 이해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판소리문화 전반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논의한 바를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소춘은 1880년 후반 대구에서 출생했으며, 1900-20년대의 대표적인 여류명창으로 활동했다. 1926년의 명창대회(11.10) 등에 출연하여 이름을 날렸고, 경성방송국(JODK) 국악방송에 8회 출연하였으며, 현재 sp음반은 7매(14면)가 확인되었다. 강소춘은 古制 소리를 하였으며, 장기는 춘향가이고, 특히 <사랑가>와 <이별가>에 뛰어났다. 둘째, 신금홍은 1906년 경남 함양에서 태어나 1942-23년 무렵 대구에서 요절한 여류명창으로 1902-30년대에 명성을 얻었다. 1927년의 명창대회(2.17-20) 등 다양한 공연에 출연하였으며, 국악방송에 18회 출연하였고, 현재 sp음반 51매(102면)가 확인되었다. 춘향가와 심청가 그리고 가야금병창에도 뛰어났는데, 특히 <육자배기>와 <십장가>, <심청자탄>에 뛰어났다. 그의 소리는 통성으로 하여 단단하고 묵직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art activities of two pansori mistresses, Gang Sochun and Sin Geumhong, between 1900 and 1930.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pansori culture of Daeg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furthermore, the whole pansori culture of Korea. Our observations revealed the following: Gang Sochun was born in the late 1880s and was a representative pansori mistress between 1900 and 1920. She won fame on the stage of Myeochangdaehoe (11.10) in 1926. She featured eight times on the radio broadcast of JODK. Presently, 7 SP disks (14 sides) of her recordings are confirmed to have survived. She sang pansori in the traditional style. Her forte was the pansori Chunhyangga and she was one of the best performers, especially in and . Sin Geumhong was born in 1906 in Hamyang, Gyeongman Province. She won fame between 1920 and 1930 and died at a young age, in approximately 1942 or 1943, in Daegu. In 1927, she appeared on the stage of Myeochangdaehoe (2.17-20) in a variety of performances and featured 18 times on the radio broadcast of JODK. At present, 51 SP disks (102 sides) of her recordings are confirmed to have survived. She was excellent at performing Chunhyangga, Simcheongga, and Gayageumbyeongchang, especially , , and . Her voice was of hard and heavy Tongseong.
목차
1. 머리말
2. 강소춘 명창의 예술활동
3. 신금홍 명창의 예술활동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삼불과 신재효 사설
- 판소리 명창의 비조 최선달 연구
- 월북 국악인 조상선의 창극 활동과 의미
- 이정원 소장 필사 18장본 심청전의 이본론
- <변강쇠가>에 나타난 욕망과 규범 사이의 긴장과 그 처리 방식
- 중국 한국문학사와 일본 한국문학사의 판소리 記述 양상과 의미
- 신재효 <廣大歌>를 통해서 본 방진관 <赤壁歌>의 演劇性
- 송영석의 창작판소리 ≪역사가≫와 이동백 제 적벽가
- 전승 <심청가> ‘장승상부인 대목’ 비교
- 일제강점기 강소춘과 신금홍 명창의 예술활동
- 이정원 소장 필사 18장본 심청전
- 단가 <사시풍경(이산저산)>의 음악적 특징과 전승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