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한국문학사와 일본 한국문학사의 판소리 記述 양상과 의미

이용수 5

영문명
Chinese Description Pattern of Korean Literary History and Japanese Description Pattern of Korean Pansori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서유석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45집, 189~22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문학사에 나타나는 판소리 記述 양상은 각각의 문학사가 가지고 있는 문학사 서술의 원칙에 따라 차이점이 분명하다. 한국문학사의 경우 초창기 문학사는 판소리를 ‘劇’으로 보는 경향이 뚜렷했지만, 판소리의 갈래와 기원에 대한 논의가 심화된 이후부터는 판소리를 한국의 독자적인 문예 갈래로 인식하고, 이를 문학사 기술에 그대로 반영하였다. 일본의 한국문학사는 자국문학사 기술 방식이나 판소리와 유사한 자국문학의 갈래를 판소리 記述의 준거로 활용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謠物語’라는 만들어진 용어가 그 증거이다. ‘謠物語’는 일본문학의 ‘歌物語’가 ‘와카(和歌)’라는 노래 중심의 이야기라는 것에 착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만약 ‘謠物語’라는 용어를 쉽게 ‘노래이야기’로 번역할 수 있다면, 운문과 산문, 또는 노래와 이야기의 교차 반복으로 이루어지는 ‘판소리’와 ‘歌物語’의 유사성에 주목하면서도 그 차이점을 드러내고자 하는 노력이 반영된 결과이다. 해외의 한국문학사 기술에 자국문학사 인식의 틀이 그대로 반영되는 모습은 중국의 한국문학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중국 한국문학사에서 판소리는 講唱 혹은 說唱으로 번역된다. 판소리계 소설은 ‘說唱的脚本’ 혹은 ‘講唱脚本体小說’로 번역된다. 이는 중국의 한국문학사가 중국문학사 내의 講唱文學이라는 틀 안에서 판소리를 인식하고 기술한다는 근거가 된다. 특히 중국 강창문학이 가지고 있는 묘사 방식의 특징을 판소리 인식과 기술에도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는 점은 자국문학사를 통해 외국문학사를 인식하고 있다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 실제로 중국의 강창문학과 판소리는 운문과 산문의 교차반복으로 이루어지는 연행물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고, 열거를 통한 과장된 묘사는 두 갈래의 공통점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The description patterns of Pansori (musical storytelling genre) in Korean literary history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various phases of literary history descriptions. In the case of Korean literary history, Pansori was initially viewed as a drama but, after in-depth discussions about its genre and origin, it was recognized as a unique Korean literary and artistic genre, a perception that was reflected in the literary history. It was found that Japanese descriptions of Korean literature used the Japanese literary description method or a genre similar to Pansori as a reference to describe Pansori. The coined term, Utamonogatari (謠物語), is one such evidence, presumably based on the term Utamonogatari (歌物語) in Japanese literature, which is Waka (和歌), a song-centered storytelling. If Utamonogatari (謠物語) can easily be translated into song-centered storytelling, Japanese efforts were reflected in the description to pay attention to the similarity between Pansori—which involves the crossing and repetition of “verse and prose” or of “song and storytelling”—and Utamonogatari, as the two genres that are yet to be differentiated. Another overseas example—in which the foreign country's perception patterns of its literary history were reflected in the description of Korean literary history—can be found in the Chinese description of Korean literary history. It translated Pansori as Jiǎngchàng (講唱: tale-song narrative) or Shuōchàng (說唱: tale-song narrative). Pansori-style novels were translated as Shuōchàng de jiǎoběn (說唱的脚本: tale-song script-style novel) or as Jiǎngchàngjiǎoběntǐxiǎoshuō (講唱脚本体小說: tale-song script-style novel). This suggests that Chinese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ry history recognizes and describes Pansori in the frame of Jiǎngchàngwénxué (講唱文學: tale-song literature) in Chinese literary history. In particular, China applied its Jiǎngchàngwénxué description method characteristics to the perception and description of Pansori, significantly suggesting that it recognized foreign literary history through its own literary history. In actuality, Chinese Jiǎngchàngwénxué and Pansori have an entertaining element in common, which involves the crossing and repetition of verse and prose and an exaggerated, narrated description of the story.

목차

1. 서론
2. 한국문학사에서의 판소리 기술 양상
3. 일본 한국문학사의 판소리 記述 양상과 의미
4. 중국 한국문학사의 판소리 기술 양상과 의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유석. (2018).중국 한국문학사와 일본 한국문학사의 판소리 記述 양상과 의미. 판소리연구, (), 189-226

MLA

서유석. "중국 한국문학사와 일본 한국문학사의 판소리 記述 양상과 의미." 판소리연구, (2018): 189-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