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현실성과 낭만성의 경계

이용수 0

영문명
How to Read Monggeumdo-Jeon: Reconsidering the Conception of “Fantastic” and “Romantic”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신호림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43집, 79~11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1916년 6월 14일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발행된 <심청전(沈淸傳)>(이하 <몽금도전>)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개작 의식의 한계를 비현실성과 낭만성의 경계에서 찾고자 했다. 이는 “쳥컨ᄃᆡ 사리에 명ᄇᆡᆨᄒᆞᆫ 독쟈졔군의 한번 비평ᄒᆞ여 보기를 바라”던 <몽금도전>의 개작자에 대한 필자의 답변이기도 하다. <몽금도전>은 기존 심청전에 산재되어 있는 비현실적 요소들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합리적 서사를 모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개작된 서사를 보면 개작자의 의도나 취지와 모순되는 지점이 지속적으로 발견된다. 서사를 새롭게 구성하는 과정에서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던 풍속에 의지한다든가, 우연의 연쇄로 서사를 직조한다든가, 앞뒤 맥락이 모순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든가 등등, 합리적인 개작 또는 과학적 근거에 의한 개작을 지향했던 움직임과는 다른 서사적 면모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이 노출된 것은 <몽금도전>의 개작자가 비판했던 비현실적‧환상적 요소들이 사실은 현실의 모순을 드러내고 그 한계를 넘어서려는 낭만적 태도 또는 성향과 연결된다는 점을 간과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서사적 합리성‧개연성의 측면에서도, 주제 구현의 방식에서도 그 한계점은 명백히 드러난다. <몽금도전>이 개작 과정에서 보여주는 한계는 심청전이 자아내는 환상성이 작품을 구축하는 주요한 틀거리임을 우회적으로 보여준다. 20세기 초 시대적 전환기에, 그 시대에 적합한 고전의 상(像)을 제시하고자 했던 <몽금도전>의 시도는 오히려 중세적 창작방식의 산물로만 인식될 수 있었던 환상성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들어준다. 고전에서 환상성을 제거한다고 해도 이것이 곧 현실성이 도드라지는 텍스트로 전환되지 않는다는 점, 그런 환상성이 비현실적 요소에 기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욱 핍진하게 현실을 그려낸다는 점 등을 역설적으로 <몽금도전>에서 읽어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work aims to determine how Monggeumdo-Jeon recreated the narrative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 Simchong-Jeon in the 20th century. The writer of Monggeumdo-Jeon reportedly attempted to adapt the narrative of Simchong-Jeon for rationality and reality. Such an adaptation coincided with the specific agenda proposed by the intelligentsia of the 20th century. However, the narrative itself of Monggeumdo-Jeon failed to contain the original intentions and aims of the writer; it is criticized as being riddled with errors and inconsistencies. Simchong-Jeon was based on elements of fantasy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of events in the physical world. This reference is deemed “romantic,” and this concept is seen as being not in contrast to the concept of “reality.” In Simchong-Jeon, these two terms show the perspective of distance from the actual world. Simchong-Jeon, owing to the concept of “romantic perspective” delivers the theme to readers and thus serves as the canon of such theme. In conclusion, Monggeumdo-Jeon failed to recreate the narrative of Simchong-Jeon. This finding is recognized when the literal factors of fantasy are eliminated.

목차

1. 서론
2. 합리성에 대한 지향과 서사적 모순의 공존
3. 심청전의 낭만성: 환상성에 대한 재인식
4. 낭만성과 효의 관계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호림. (2017).비현실성과 낭만성의 경계. 판소리연구, (), 79-110

MLA

신호림. "비현실성과 낭만성의 경계." 판소리연구, (2017): 79-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