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 이면 용어화의 용례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Examples of Terminologization in Pansori Imyeon: Focus on Structural Linguistic and Cognitive Linguistic Analysis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갈효우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41집, 7~60쪽, 전체 5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9,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판소리에서 ‘이면’이란 용어는 판소리의 핵심적인 용어이지만 여태까지 판소리 ‘이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심지어 판소리 이면의 개념에 대해서도 혼란을 겪고 있으며 그 정체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판소리 연구에서 언어학의 입장으로 연구하는 것이 극히 적으며 특히 구조언어학과 인지언어학적 연구는 판소리 연구의 황무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고에서는 판소리 ‘이면론’에 들어가면 꼭 집고 넘어가야 할 문제인 ‘이면’의 뜻과 용법에 대하여 여태까지 일으킨 인식의 혼란을 기능·구조 언어학, 인지언어학을 주된 연구 방법론으로 하며, 그 외에 이중주어론, 통시언어학, 언어유형학, 통사론 등 다양한 언어학의 방법론과 문헌연구법으로 분석하였다. 인지언어학 중 주로 인지의미론, 주의적 관점, 의미의 변화 중의 은유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시대 흐름에 따른 판소리 이면 용례의 언어구조적 변화 양상을 살피고 ‘이면’이 반사하는 판소리에 대한 시대 인식을 검토하였다. 바꿔 말하면, 판소리에 대한 인지를 분석하며 이면의 뜻과 용법에 대한 인식을 한 층 더 깊어지자고 할 뿐더러 판소리사에 대한 재검증을 하고자 하며 이면이 학술어로서의 확립을 위해 기초를 닦아 두고자 한다. 결국은 한국어 이중주어문의 언어 구조의 변화 과정과 이면 표현의 언어가 반영하는 판소리에 대한 인식(인지)에 맞물려서 판소리 ‘이면’의 용례를 아래와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첫째, 일반어로 쓰이는 ‘이면’ -‘말 이면이 당치 않다’ - ‘말 이면은 틀리다’ 언어주조는 주제-평언이다. 둘째, 전문적인 영역으로 끌어 쓰기 시작한 ‘이면’ - ‘소리의 이면을 알다’ 언어구조는 주제-평언에서 주어-술어까지의 중간형을 취한다. 즉 주어인 ‘이면’ 앞에서 주어의 영역이나 범위를 한정해 주는 ‘N. 의’가 온다. 셋째, 직업어로 쓰이는 ‘이면’- ‘이면이 적당하다’, ‘이면이 맞다’ 언어구조는 주어-술어(탈주제화)이다. 그리고 ‘이면’의 용법을 고찰하는 과정에 그의 뜻과 용법에 대한 해석의 문제점을 제기하여 그에 대한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판소리 ‘이면’의 개념 문제에는 지금까지 두 가지 심한 혼동된 점이 있다. 하나는 ‘이면’을 역사적인 상황과 판소리에 대한 인식의 규칙을 무시한 채 주관적으로 과해석을 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이면’의 개념적 의미와 용법의 상황적 의미를 구분하지 않고 혼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이면이 직업어가 된 후에도 다의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그의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이면’의 개념 확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Imyeon is a key word in Pansori, but little research exists on this word in the academic field. Moreover, confusion prevails even about its definition. Further, there exists almost no linguistic study, especially structural linguistic or cognitive linguistic studies on Pansori.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and usage of Imyeon based on the theory of structural linguis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as well as diachronic linguistics, double-subject, linguistic typology, syntax, and documentation. And the cognitive linguistic analysis focus on cognitive semantics, attentional view and metaphor. The linguistic structure of the examples of Imyeon has changed over time. By examining the structure, we can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Imyeon, find out the recognition of Imyeon based on how it has historically been cognized. In other words, the present thesis not only tries to explore the meaning and usage of Imyeon by discussing the cognition of Pansori and Imyeon, but also tries to verify the history of Pansori. Moreover, by this research and with the aid of another research that charts the history of theoretical research on Imyeon, the attempt is to define Imyeon as terminology. As a conclusion, from the viewpoint of structural linguis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the examples of Imyeon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when Imyeon is used in general language - “말 이면이 당치 않다/ 틀리다” the linguistic structure is topic-comment. Second, Imyeon began to be used in a specialist area - “소리의 이면을 알다” the linguistic structure in which “N. 의” modifies the subject Imyeon, finites the specialist area of Imyeon and is in the middle of the topic-comment and subject-predicate. Third, when Imyeon is used in professional language - “이면이 맞다” the linguistic structure is subject-predicate(topic abscission). Besides, with the examination of the examples of Imyeon, this paper raises two main problems by which people are easily confused. One is the neglect of history situation and the rule governing the cognition of Pansori Imyeon, which as a result, leads to the problem of over-interpretation; the other is the confusion of objective meaning and situational meaning. In the end, Imyeon remains polysemous in professional language. This indicates that the subject of later research is the definition of Imyeon as terminology.

목차

1. 머리말
2. 일반어, 전문어와 직업어의 개념
3. 일반어로 쓰이는 ‘이면’ - ‘말이 이면 틀리다/ 당치 않다’
4. 전문적인 영역으로 끌어 쓰기 시작한 ‘이면’ ‒ ‘소리의 이면을 알다’
5. 직업어로 쓰이는 ‘이면’ - ‘이면이 적당하다/ 맞다’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갈효우. (2016).판소리 이면 용어화의 용례 분석. 판소리연구, (), 7-60

MLA

갈효우. "판소리 이면 용어화의 용례 분석." 판소리연구, (2016): 7-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