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발생 전후의 사이버폭력에 대한 뉴스 빅데이터 분석
이용수 248
- 영문명
- News Big Data Analysis on Cyber Violence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서창수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7권 제4호, 55~7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19 발생 전후 사이버폭력에 대한 사회적 의제와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LDA 토픽모델링 분석기법을 활용한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두 시기 모두‘학교, 학생, 교육, 피해, 조사, 예방’등의 키워드가 상위 주요 키워드로 등장함에 따라 사회적으로 사이버폭력의 주된 관심 대상이 학생과 학교현장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이버폭력관련 보도기사는 이후 시기에 보도건수가 이전 시기에 비해 약 2배 이상 많았으며, 사이버폭력에 대한 공정한 처벌, 제도 개선과 법제화, 그리고 대국민 디지털 미디어 소통 강화로의 토픽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셋째, 도출된 전체 토픽을 3개의 영역으로 재분류한 결과, 사이버폭력 실태와 폐해를 다룬 토픽이 43.3%로 가장 많았으며, 사이버폭력 예방과 교육 30.8%, 그리고 사이버폭력의 제도와 법제화 26.0%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폭력에 대한 사회 전구성원의 참여와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social agendas and changes in perception of cyber violence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using news big data. To this end, LDA topic modeling analysis technique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s keywords such as ‘school, student, education, damage, investigation, prevention’ appeared as high-ranking keywords in both period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target of social interest in cyber violence was in students and school sites. Second, the number of news articles related to cyber violence was about twice as high as in the previous period, and new topics such as fair punishment for cyber violence, its system improvement and legislation, and strengthening digital media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emerged. Third, as a result of reclassifying all the derived topics into three major categories, the topic dealing with the harmful effects of cyber violence was the most at 43.3%, its prevention and education 30.8%, and cyber violence system and legislation 26.0%. appeared in sequenc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participation and role of all members of society in cyber violence were presente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