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가교육의 변화와 교육적 실천
이용수 40
- 영문명
- Changes in Leisure Educ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 in Physic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정우석 박형란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4권 제2호, 171~18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여가 교육의 변화를 탐색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여가교육모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여가교육 관련 학술지 논문 등을 이용한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교과 내 여가교육의 변화는 4가지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성적 관점에서 여가교육의 축소, 목표적 관점에서 포용성, 주도성, 창의성 강조, 내용적 관점에서 교육내용으로서의 여가 활동 영역 변화, 이해, 실천, 성찰의 여가 실천성 지향, 그리고 방법적 관점에서 통합적 체험을 통한 총체적 접근의 변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미래지향적 시도가 있다. 둘째,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여가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실천적 모형으로 개인적·사회적 책임감 교육모형을 제시한다. 이 모형은 창의성과 포용성의 추구, 이해, 실천, 성찰의 전 과정 포함, 자기주도적인 능동적 학습의 지향 측면에서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결론적으로 이상적인 여가교육을 실현을 위해 예비체육교사 교육에서 여가교육의 실천, 현장교사를 위한 여가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nges in leis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explore an educational model. To this end, a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urriculum documents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Korea and thesis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leisur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anges in leis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ppear in four dimensions: systematic, objective, content, and methodological. Second, a Teaching 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T.P.S.R.) is presented as a practical model to realize leis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PSR is closely related to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terms of ‘pursuit of creativity and inclusiveness’, ‘including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practice, and reflection’, and ‘direction of self-directed active learning’. In conclusion, 'practice of leisure education in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leisure education program for field teachers' are suggested.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문기사를 활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스포츠분야 이슈분석
- 발레 여가활동 참여가 여성노인의 노인체력과, 혈중지질 및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기법을 통한 한국야구 국가대표팀의 경쟁력강화 방안도출
- 필라테스 참여 엑티브 시니어의 여가 향유신념 및 향유방식과 삶의 의미 탐색
- 여가교육의 변화와 교육적 실천
- 레저상품 예약에 대한 AI 챗봇 수용의도
- 야외 운동기구를 활용한 서킷트레이닝이 저 체력 학생의 건강체력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크로스핏 훈련이 스키선수의 순발력, 동적균형조절 및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합리적행동이론을 적용한 중국인 유학생의 레저스포츠 참여 행동의도에 관한 분석
- 등산 마니아의 심리적 혜택과 영적 웰빙 체험 분석
- 전문 캐디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프로골퍼 출신의 일상 알아보기
- 스크린골프 동호회 참가자의 여가경험과 가치지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심판판정 인식 차이
- 신체활동에 참여한 액티브 시니어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어려움 분석
- 가치-태도-행동(VAB) 모델을 적용한 스키 리조트 방문객의 행동의도 분석
- 기업의 위기 상황에서 스포츠 스폰서십의 완충효과에 관한 연구
- 자전거동호회 중년여성의 참여동기가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4권 제2호 목차
- 액티브 시니어 골프참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목 통증 재발의 위험인자에 관한 추적 조사
-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자율성 동기의 역할: 스코핑 리뷰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스포츠 이벤트 관중의 지각된 기능적 가치, 소비감정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Mehrabian-Russell 모델을 통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6권 제1호 목차
- 스포츠 인공지능 활용의 서비스 가치, 신뢰, 심리적 반응의 관계: 야구 자동투구판정(ABS) 시스템 경험 선수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