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크로스핏 훈련이 스키선수의 순발력, 동적균형조절 및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3
- 영문명
- Crossfit training on power, dynamic postural control, and proprioceptive sensory in ski athletes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경성현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4권 제2호, 83~9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6주간의 크로스핏 훈련이 스키선수의 순발력, 동적균형조절 및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남자 스키선수 24명을 무작위로 크로스핏 운동군 12명과 통제군 12명으로 분류하였다. 크로스핏 훈련프로그램은 푸시업, 스쿼트, 싯업, 벽에 한다리 올리기, 핸드스텐딩 푸시업, 엘리베이트힐과 버피로 구성하였고, 60-70% 강도로 6주간 주 3회 60분간 수행하였다. 종속변인으로 제자리멀리뛰기와 제자리 높이뛰기, 동적균형조절 검사 및 고유수용성(BESS) 기능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발력 요인인 제자리 높이뛰기와 멀리뛰기는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동적균형조절은 좌·우측의 전방, 후방 안쪽과 가쪽 뻗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패드 위에서의 고유수용성 감각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6주 크로스핏 훈련은 스키선수의 순발력, 동적균형조절 및 고유수용성 감각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6 weeks of crossfit training on power, dynamic posture control and proprioceptive sensory in ski athletes. Twenty four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 exercise group (Ex=12) and control group (Con=12). The crossfit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a Push-ups, Squat(deep), Sit-ups, 1 Leg raises on Sweden wall, Handstand push-ups, Elevated heels, Burpees and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for 60 minutes at 60-70% intensity for 6 weeks. The dependent varialbes sargent jump, standing long jump, dynamic posture control test and proprioceptive snesory. The results are as a follows. The sargent jump and standing long jump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Dynamic postural control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anterior, postero-medial and postero-lateral reach of the left and right leg, an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roprioceptive sensory on the form pad. In conclusion, 6 weeks of crossfit training have been shown to improve power, dynamic posture control and proprioceptive sensory in ski athletes.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문기사를 활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스포츠분야 이슈분석
- 발레 여가활동 참여가 여성노인의 노인체력과, 혈중지질 및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기법을 통한 한국야구 국가대표팀의 경쟁력강화 방안도출
- 필라테스 참여 엑티브 시니어의 여가 향유신념 및 향유방식과 삶의 의미 탐색
- 여가교육의 변화와 교육적 실천
- 레저상품 예약에 대한 AI 챗봇 수용의도
- 야외 운동기구를 활용한 서킷트레이닝이 저 체력 학생의 건강체력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크로스핏 훈련이 스키선수의 순발력, 동적균형조절 및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합리적행동이론을 적용한 중국인 유학생의 레저스포츠 참여 행동의도에 관한 분석
- 등산 마니아의 심리적 혜택과 영적 웰빙 체험 분석
- 전문 캐디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프로골퍼 출신의 일상 알아보기
- 스크린골프 동호회 참가자의 여가경험과 가치지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심판판정 인식 차이
- 신체활동에 참여한 액티브 시니어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어려움 분석
- 가치-태도-행동(VAB) 모델을 적용한 스키 리조트 방문객의 행동의도 분석
- 기업의 위기 상황에서 스포츠 스폰서십의 완충효과에 관한 연구
- 자전거동호회 중년여성의 참여동기가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4권 제2호 목차
- 액티브 시니어 골프참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목 통증 재발의 위험인자에 관한 추적 조사
-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자율성 동기의 역할: 스코핑 리뷰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스포츠 이벤트 관중의 지각된 기능적 가치, 소비감정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Mehrabian-Russell 모델을 통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6권 제1호 목차
- 스포츠 인공지능 활용의 서비스 가치, 신뢰, 심리적 반응의 관계: 야구 자동투구판정(ABS) 시스템 경험 선수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