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심판판정 인식 차이
이용수 28
- 영문명
- Differences in Judicial Judgment Perceptions of Taekwondo Athletes According to Performance Levels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박경훈 정광채 전민수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4권 제2호, 51~6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태권도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심판판정 인식 차이를 확인하는 목적에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대상은 대학 및 실업 태권도 선수들 30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조사도구는 태권도 심판들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총 3개의 요인 공정성, 신속성, 신뢰성으로 구분하여 총 1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성별, 경기력 수준, 운동경력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문항반응이론인 Rasch모형을 적용하여 요인별 난이도와 난이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난이도 산출을 위해 Winsteps 3.6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이때 문항에 대한 적합도는 내적합도와 외적합도 지수, 점이연 측정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문항에 대한 신뢰도 확인을 위해 신뢰도 지수와 분리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들 경기력 수준에 따라 심판판정 신속성 인식에서는 ‘심판판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문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수들 경기력 수준에 따라 심판판정 일관성인식에서는 ‘참가한 경기마다 동일한 판정기준에 따라 심판을 본다’, ‘경기 시 심판판정은 선수들에게 신뢰감을 준다’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referee judg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formance of taekwondo athletes. For this study, 300 university and amateur taekwondo athlete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Survey tool consisted of a total of 16 questions divided into three factors, fairness, promptness, and reliability,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taekwondo referees. As for the data processing method, the Rasch model, which is an item response theory, was applied to verify the level of difficulty and difference in level of difficulty by factor. The Winsteps 3.65.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the difficulty. In addition, reliability index and separability index were calcula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at .05,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recognizing the fairness of referee judg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players' perform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question of 'the referee's judgment is generally made quickly' in the recognition of the promptness of the referee's judg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athletes’ performance.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문기사를 활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스포츠분야 이슈분석
- 발레 여가활동 참여가 여성노인의 노인체력과, 혈중지질 및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기법을 통한 한국야구 국가대표팀의 경쟁력강화 방안도출
- 필라테스 참여 엑티브 시니어의 여가 향유신념 및 향유방식과 삶의 의미 탐색
- 여가교육의 변화와 교육적 실천
- 레저상품 예약에 대한 AI 챗봇 수용의도
- 야외 운동기구를 활용한 서킷트레이닝이 저 체력 학생의 건강체력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크로스핏 훈련이 스키선수의 순발력, 동적균형조절 및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합리적행동이론을 적용한 중국인 유학생의 레저스포츠 참여 행동의도에 관한 분석
- 등산 마니아의 심리적 혜택과 영적 웰빙 체험 분석
- 전문 캐디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프로골퍼 출신의 일상 알아보기
- 스크린골프 동호회 참가자의 여가경험과 가치지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심판판정 인식 차이
- 신체활동에 참여한 액티브 시니어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어려움 분석
- 가치-태도-행동(VAB) 모델을 적용한 스키 리조트 방문객의 행동의도 분석
- 기업의 위기 상황에서 스포츠 스폰서십의 완충효과에 관한 연구
- 자전거동호회 중년여성의 참여동기가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4권 제2호 목차
- 액티브 시니어 골프참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목 통증 재발의 위험인자에 관한 추적 조사
-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자율성 동기의 역할: 스코핑 리뷰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스포츠 이벤트 관중의 지각된 기능적 가치, 소비감정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Mehrabian-Russell 모델을 통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6권 제1호 목차
- 스포츠 인공지능 활용의 서비스 가치, 신뢰, 심리적 반응의 관계: 야구 자동투구판정(ABS) 시스템 경험 선수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