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로젝트 학습 운영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이용수 112
- 영문명
- The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project learning: Focused on the case of ‘student-led projet’ at A middle school
- 발행기관
-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정은영 박종원 양영희 정주리
- 간행물 정보
- 『현장수업연구』제4권 제2호, 101~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단위 학교의 프로젝트 학습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A 중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A 중학교는 미래형 혁신학교로, 전 학년 학생들이 ‘자율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A 중학교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사 4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 및 면담 문항 내용은 학생들에게 기대한 것, 학생들의 흥미, 참여도, 주도적인 능력 향상, 긍정적인 영향 등에 대한 의견, 지도하면서 보람을 느끼는 정도, 어려움, 필요한 지원 등이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자율 프로젝트’의 취지에 동의하였고,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인 능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하였다. 교사들은 ‘자율 프로젝트’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와 참여도가 높고,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인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교사들은 ‘자율 프로젝트’를 지도하면서 학생들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면서 보람을 느꼈다. 그런데 지도를 하면서 학생들의 활동에 개입해야 하는 정도, 흥미가 낮은 학생들의 동기 유발 방법, 다양한 주제에 대한 지원과 관리 등의 어려움이 있었고, 외부 전문가의 지원, 안내 자료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프로젝트 학습 운영에 대한 제언으로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운영하는 방안, 프로젝트 학습 운영을 위한 안내 자료의 제작 및 보급, 단위 학교의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프로젝트 학습 운영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project-based leaning in A middle school, a future-oriented innovative school where all students participate in student-led projec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5 teacher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teachers from the school. The survey and interview questions included expectations of students, opinions on students’ interest, levels of participation, improvement in self-directed ability, positive influence of student-led projects, degree of satisfaction while providing guidance, difficulties, and necessary suppor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agreed on the purpose of the student-led projects and expected students’ self-directed ability to improve. The teachers evaluated that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student-led project were high, and that the students’ self-directed ability had improved. The teachers also felt rewarded while watching the students grow. However, there were difficulties such as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students’ activities while providing guidance, how to motivate students with low interest, and how to support the management of various topics. Additionally, they felt the need for external expert support and guidance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project-based learning can be implemented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guide materials need to be produced and distributed, and discussion on project learning needs to be continued in the school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