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기체의 성질’ 단원의 원격 과학 탐구 수업 개발 및 적용
이용수 59
-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iddle School Remote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s
- 발행기관
-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서영미 윤희숙
- 간행물 정보
- 『현장수업연구』제4권 제2호, 59~7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학생, 학생-학생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가정에서 실험이 가능한 중학교 과학 교과의 원격 탐구 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수업에 대한 효과와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체 7차시의 원격 탐구 수업자료를 개발하여, 중학교 1학년 18명을 대상으로 원격 탐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은 ‘온라인 클래스 화상수업’ 플랫폼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진행하였으며, 띵커벨 보드, 구글 설문 등의 상호작용 툴을 활용하였다. 원격 탐구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과학과 핵심역량 검사, 과학탐구 능력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원격 탐구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간, 학생-학생 간 언어적 상호작용을 조사하여 유형 및 내용을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원격 탐구 수업의 적용으로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 과학 탐구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서는 개별 실험 도구의 사용으로 개인이 직접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가장 큰 장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수업 중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진행된 점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원격 수업상황에서 효과적인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remote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s of middle school science subjects that emphasize teacher-student, student-student interactions, and can be experimented at home. and then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es and students’ perceptions. To this end, seven remote inquiry-based classes were conducted for 18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Classes were conducted in real time using the ‘Online Class Video Class’ platform, and interaction tools such as Tinkerbell Board and Google Survey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remote inquiry classes, science core competency tests, and science process skill tests were conducted, and students’ perceptions of remote inquiry classe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the application of remote inquiry classes significantly improved students’ science core competenci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The biggest advantage was that individuals could perform all experiments directly through the use of individual experimental ki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tudent and student-student was actively conducted during class, and they thought it was helpful in class. Based on the results, effective inquiry-based classes in non-face-to-face remote class situ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