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임진왜란 이전, 전쟁 대비를 위한 문학적 대응의 두 양상

이용수 27

영문명
The Two Aspects of Literary Action for War Preparation before the Imjin War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朴貞珉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95호, 37~7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총 6단계로 진행되는 <임진왜란 체험 문학 연구>의 1단계인 ‘임진왜란 발발 전의 上疏․詩․書를 고찰하는 연구’의 결과물이다. 임진왜란의 대비는 거국적 논의의 실패를 딛고, 소수의 연대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전쟁의 발발에 대한 조정의 공식적 부정과 암묵의 강요는 국가적 책략의 공적 논의를 어렵게 만들었지만, 이에 민간인들은 자발적인 연대를 출범시켜 은밀하지만 치밀하게 전쟁을 대비하였다. 趙憲(1544∼1592)의 경우, 국가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전면적인 대비를 주장하였으나, 斥日을 주장하고 時弊의 개선을 요구한 그의 疏는 조정의 반대에 부딪쳐 수용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헌은 각종 문서를 작성하여 일본의 침략에 대비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주변인에게 서신을 보내 전쟁의 위험을 알리고 대비를 당부하였다. 柳汀(1537∼1597)을 위시한 경상도 지역 士人들의 경우, 지역적 차원에서 향토 수호의 연대를 결성하여 전쟁에 대비하였다. 그들의 기록 중 가장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는 류정의 <日記>에는 1590년 3월부터 전쟁의 조짐이 동남쪽 해역에서 감지되었다는 사실, 전쟁 대비를 위해 지역 사인들이 詩會를 열고 서신을 주고받은 정황 등이 기록되어 있다. 조헌과 류정의 활동 지역과 대비 방식은 상이하지만, 이들의 대비가 임진왜란 발발 이후 전개되는 의병활동의 바탕이 된다는 점은 동일하다. 그들은 모두 국가의 存亡에 대한 위기의식을 주변인과 공유하였으며, 자신의 위치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 전쟁에 대비하였다. 그리고 투철한 역사의식과 뛰어난 문예 능력을 기반으로, 救國의 연대를 결성하여 협력을 도모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조헌과 류정은, 임진왜란 이전에 전쟁의 대비를 실천한 조선 士人의 兩大 전형이다. 호소와 설득으로 위기의식의 공유를 도모했던 疏, 공감과 소통으로 士人들의 연대를 견인한 詩, 격려와 위안으로 투쟁의지를 고양시킨 書, 상황의 변화에 따른 憂國의 심회를 기록한 日記 등, 그들의 문학에는 국난 극복의 책무를 자처했던 조선 士人들의 위대한 얼과 숨이 깃들어 있다. 과거와 소통하고, 인적 연대를 공고히 하고, 지역의 거리를 넘어 긴밀하게 연대하는 이들의 곁에는 늘 문학이 있었으니, 임진왜란 이전에도 한문학은 공감과 화합을 견인하는 문학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is the results of the study exploring the petitions to the king, poems, and letters written before the Imjin War, as the first step of the six-step study for the Imjin War experiential literature. Preparation for the Imjin War was based in the solidarity of the minority, after overcoming failure of the whole national discussion. Although the royal court's official denial about the outbreak of war and their compulsion to keep silence made an official discussion over national strategy difficult to be held, civilians were rather motivated to launch regiment voluntarily and prepare for the war secretly and thoroughly. For example, Jo Heon(趙憲, 1544~1592) insisted preparations at the national level. He emphasized the exclusion of Japanese intervention and demanded political improvement through his petition to the king, but the royal court didn't accept it. Nevertheless, he continued to insist the importance of national preparation for an invasion from Japan by drawing up various documents. Also, he warned people around him of the risk of war and prepared them for it by sending letters. In case of scholars(士人, Yangban class(兩班)) living in Gyeongsang-do area, including Ryu Jeong(柳汀, 1537~1597), they formed solidarity at the regional level in order to prepare for the risk of war. And among their records, written by Ryu Jeong shows the most details. According to it, the signs of war started to be detected in southeast waters from March, 1590, and it was also recorded that regional scholars held poetry cubs for war preparation and exchanged letters. Where they worked and the way they acted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one thing in common is that all their preparations provided a basis for righteous army activities after the Imjin War. All they shared the consciousness of crisis about the fate of the nation with people around them, and did their utmost to prepare for war in their own positions. And based on great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outstanding literary abilities, they developed solidarity for the national salvation(救國) and promoted cooperation. Jo Heon and Ryu Jeong, stated in this study, are the two representative scholars(士人) who practiced preparation for war prior to the Imjin War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ir literary works were inspired by great spirits and souls of Joseon scholars(士人) who devoted themselves to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and these works include petitions(疏) to the king written to encourage sharing of crisis consciousness through appeal and persuasion, poems(詩) to lead the scholars' solidarity through empathy and interaction, letters(書) to boost a fighting will through encouragement and consolation, and diaries(日記) to record emotions about saving-the-country(憂國) along with the situational change. This way, they were highly familiar to literature at all times and used to make used of it to communicate with the past, solidify human solidarity, and empathize with each other beyond the geographical limit. And this implies that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before the Imjin War fully performed its literary function to lead empathy and harmony.

목차

1. 서론
2. 국가적 대비를 위한 비판과 호소의 글쓰기
3. 지역적 방비를 위한 연대와 협력의 글쓰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朴貞珉. (2023).임진왜란 이전, 전쟁 대비를 위한 문학적 대응의 두 양상. 동방한문학, (), 37-71

MLA

朴貞珉. "임진왜란 이전, 전쟁 대비를 위한 문학적 대응의 두 양상." 동방한문학, (2023): 37-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