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주일간의 입원 기간 동안 운동 기반 심장재활이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젖산 수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8
- 영문명
- Effects of Exercise-Based Cardiac Rehabilitation During a Week-Long Hospital Stay on Lactate Levels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발행기관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정재
- 간행물 정보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제11권 제1호, 47~5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amine changes in lactate levels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myocardial infarction during cardiac rehabilitation. Th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based cardiac rehabilitation on lactate levels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Methods: A total of eight patients (7 males and 1 female, aged 64.1 ± 12.8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participated in an inpatient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were included in this study. Lactate levels were measured using Lactate Plus (Nova Biomedical, Rodermark, Germany), which can measure lactate levels from 0.3 to 25.0 mmol/L. Exercise intensity during the inpatient cardiac rehabilitation period was set at 40%-60% of peak oxygen uptake (peak VO2), and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ing and lactate leve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exercise. Normally distribu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s, and non-normally distribu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VO2peak and metabolic equivalent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minute ventilation per unit carbon dioxide production showed a decreasing trend but not a significant decrease (p=.014, p=.02). During the one-week inpatient rehabilitation period, lactate levels at rest before exercise on the first and last days of rehabili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p=.036). Lactate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immediately after exercise (p=.014), while lactate levels before exercise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all eight patients. Conclusion: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lactate level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exercise-based cardiac rehabilitation, while lactate levels at rest decreased during the one-week rehabilitation period as aerobic capacity improv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저강도 인터벌훈련이 복대동맥 치환술 후 발생한 전신쇠약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 복장목뿔근에 대한 수동신장운동이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산소 운동 시 마스크 타입에 따라 호흡 기능에 미치는 효과
- 동적 상지운동을 동반한 호흡운동이 COVID-19 20대 여성 확진자의 폐 기능과 호흡근 근력에 미치는 영향
- 일주일간의 입원 기간 동안 운동 기반 심장재활이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젖산 수치에 미치는 영향
- 건강한 대상자에게 허혈성 전처치와 햄스트링 스트레칭, 복합적용이 운동능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비교
- 지역사회기반 여성 노인의 호흡 근력과 신체 근력 및 근육량의 상관관계 연구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제11권 제1호 목차
- 유산소운동과 호흡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이 코로나 경험 유무에 따라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 정신건강분야에서의 ICF 관련 연구 동향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A Systematic Review on the Management of Cortical Visual Impairment
- 2D Single-legged Dynamic Knee Valgus assessments Methods: Evaluating Risk Factor for Internal Derangement of the Knee; Literature Review
- The Effects of Training with Immersive Virtual Reality Devices on Balance, Walking and Confide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