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강한 대상자에게 허혈성 전처치와 햄스트링 스트레칭, 복합적용이 운동능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비교
이용수 48
- 영문명
- Comparison of Immediate Effects of Ischemic Preconditioning, Hamstrings Stretching, and Complex Approach on Exercise Capacity in Healthy Subjects
- 발행기관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영준 최민철 이동엽 홍지헌 유재호 김성길 김진섭
- 간행물 정보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제11권 제1호, 27~3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schemic preconditioning (IPC), hamstring stretching, and complex approach on exercise ability and to identify the impact on the ability to recover after exercise. Methods: A total of 20 healthy adult mal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performed different interventions before exercise (nothing applied [CON], IPC, hamstring stretching, and IPC + hamstring stretching [Complex]), followed by cycling exercise, with a 5-min rest after exercise. Heart rate (HR), rate of perceived exertion (RPE), and oxygen saturation (Spo2) were measured during exercise and 5 min after exercise.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was measured before exercise,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5 min after exercis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one-way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Exercise tim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mplex and CON and IPC conditions. RPE measured during exerci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mplex and CON and IPC condition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R measured during exercise was observed between Complex and CON condition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BP, DBP, HR, Spo2, and RPE measured 5 min after exercise was observed between the conditions. Conclusion: Applying IPC and hamstring stretching together before exercise can be a particularly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aerobic exercise capac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저강도 인터벌훈련이 복대동맥 치환술 후 발생한 전신쇠약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 복장목뿔근에 대한 수동신장운동이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산소 운동 시 마스크 타입에 따라 호흡 기능에 미치는 효과
- 동적 상지운동을 동반한 호흡운동이 COVID-19 20대 여성 확진자의 폐 기능과 호흡근 근력에 미치는 영향
- 일주일간의 입원 기간 동안 운동 기반 심장재활이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젖산 수치에 미치는 영향
- 건강한 대상자에게 허혈성 전처치와 햄스트링 스트레칭, 복합적용이 운동능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비교
- 지역사회기반 여성 노인의 호흡 근력과 신체 근력 및 근육량의 상관관계 연구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제11권 제1호 목차
- 유산소운동과 호흡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이 코로나 경험 유무에 따라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 정신건강분야에서의 ICF 관련 연구 동향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A Systematic Review on the Management of Cortical Visual Impairment
- 2D Single-legged Dynamic Knee Valgus assessments Methods: Evaluating Risk Factor for Internal Derangement of the Knee; Literature Review
- The Effects of Training with Immersive Virtual Reality Devices on Balance, Walking and Confide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