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구통계 기법을 이용한 토양오염 분포 예측 오차 최적화 및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영향인자 해석
이용수 43
- 영문명
- Optimization of Soil Contamination Distribution Prediction Error using Geostatistical Technique and Interpretation of Contributory Factor Based on Machine Learning Algorithm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한호상 서장원 최요순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6권 3호, 331~34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구통계 기법을 기반으로 토양오염지도를 작성하는 경우 예측 오차가 발생하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원인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규 크리깅을 활용하여 폐광산지역의 토양 내 중금속 농도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격자형 기반의 토양오염지도를 작성하였다. 해당 지도의 예측 오차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 5개 인자를 선정하고, Leave-one-out 기법을 기반으로 인자의 옵션과 설정값의 변화에 따른 예측값과 실측값 간의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후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RMSE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 3개 인자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Standard interpolation에서는 Variogram Model, Minimum Neighbors, Anisotropy 인자가 RMSE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베리오그램 모델에서는 Spherical 모델이 가장 낮은 RMSE를 보였으며, Minimum Neighbors는 3에서 최젓값을 보인 후 값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Anisotropy의 경우 이방성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통계와 머신러닝의 복합 활용을 통해 지역 규모에서 높은 신뢰성을 갖는 토양오염지도를 작성할 수 있었고, 적은 수의 토양 샘플링 데이터의 보간 작업 시 어떠한 요인들이 큰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When creating a soil contamination map using geostatistical techniques, there are various sources that can affect prediction errors. In this study, a grid-based soil contamination map was created from the sampling data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oil in abandoned mine areas using Ordinary Kriging. Five factors that were judged to affect the prediction error of the soil contamination map were selected, and the variation of the root mean squared error (RMSE) between the predicted value and the actual value was analyzed based on the Leave-one-out technique. Then,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derived the top three factors affecting the RMSE.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Variogram Model, Minimum Neighbors, and Anisotropy factors have the largest impact on RMSE in the Standard interpolation. For the variogram models, the Spherical model showed the lowest RMSE, while the Minimum Neighbors had the lowest value at 3 and then increased as the value increased. In the case of Anisotropy, it was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not to consider anisotropy. In this study, through the combined use of geostatistics and machine learning, it was possible to create a highly reliable soil contamination map at the local scale, and to identify which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when interpolating a small amount of soil heavy metal data.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및 해석
4. 토의
5. 결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구통계 기법을 이용한 토양오염 분포 예측 오차 최적화 및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영향인자 해석
- Geochemistry and Petrogenesis of Pan-african Granitoids in Kaiama, North Central, Nigeria
- 수신함수와 표면파 분산의 연합 역산을 사용한 강원도 지역 하부의 지각속도구조 분석
- 페리하이드라이트의 산화음이온 흡착 특성과 광물상 변화
- 현무암 CO2 지중저장 해외 연구 사례 조사 및 타당성 분석
- 단층 활동 추적 연구에서의 Shape Preferred Orientation (SPO) 분석법
- 벤토나이트의 열수변질특성에 따른 중금속의 거동 특성
- 탄산칼슘 동질이상체의 수용액 기반 합성법 및 형태학적 특성 리뷰
- 상동광산 석영맥의 조직 및 석영의 미량원소 분석을 통한 광맥 침전기작 도출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니켈 라테라이트 광상의 특성과 광화 규제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Evidence for Detecting K/Pg Boundary in Bade Section, Dohuk Area, Northern Iraq
-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Gravity and Magnetic Data for Fe-Mn-Pb Mineralization Prospecting in Jbel Skindis, Eastern High Atlas, Morocco
- 서부 경기지괴 태안지역의 구조 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 고원생대 서산층군의 분포 양상으로부터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