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신함수와 표면파 분산의 연합 역산을 사용한 강원도 지역 하부의 지각속도구조 분석
이용수 69
- 영문명
- Analysis of Crustal Velocity Structure Beneath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Using Joint Inversion of Receiver Functions and Surface Wave Dispersion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황정연 장성준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6권 3호, 277~29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강원도 지역과 그 주변에 설치된 21개의 광대역 지진관측소 하부에 대한 지각속도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2019년 3월 18일부터 2022년 12월 31일 사이에 발생한 139개 원거리 지진자료(Mw 5.8, 진앙거리 30° – 90°)에 H-κ 중합법을 적용하여 각 관측소 하부에서의 모호면 깊이와 Vp/Vs 비를 추정하였다. H-κ 중합법으로 추정한 모호면 깊이는 24.9 – 33.2 km, Vp/Vs 비는 1.695 – 1.760으로 나타났으며, 추정한 Vp/Vs 비를 수신함수와 표면파 분산의 연합 역산에 적용하여 각 관측소 하부에 대한 1차원 지각속도 모델을 획득하였다. 이에 따른 모호면 깊이는 25.9 – 33.7 km로 H-κ 중합법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고, 두 방법의 모호면 깊이 결과는 에어리의 지각평형설을 대체적으로 따르는 일치된 양상을 보인다. 1차원 지각속도 모델 해석 결과 태백산 분지에 위치한 일부 관측소의 직하부에서 P파 속도 5 km/s 이하의 저속도층이 2 km 두께로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CHNB, GAPB 관측소도 같은 결과를 보이는데 이 관측소들은 신생대에 생성된 퇴적층 위에 위치하고 있다. SH2B 관측소는 퇴적층 위에 위치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표층의 P파 속도가 낮게 나왔으며, 이는 기반암의 풍화와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계산된 1차원 모델들을 살펴볼 때 모든 관측소의 4 – 12 km 깊이 사이에서 깊어짐에 따라 속도가 감소되는 속도역전층이 관측되었고, 이중 일부 관측소의 하부 10 km 부근에서 암석의 밀도차로 인한 것으로 여겨지는 중간지각 불연속면이 나타났다.
영문 초록
To analyze the crustal velocity structures beneath 21 broadband seismic stations i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we first applied the H-κ stacking method to 139 teleseismic event data (Mw 5.8 and the epicentral distance of 30° – 90°) occurring between March 18, 2019 and December 31, 2022 to estimate the Moho depths and Vp/Vs ratios beneath each station. The Moho depths and Vp/Vs ratios from the H-κ stacking method range from 24.9 to 33.2 km depth and 1.695 – 1.760, respectively, and the estimated Vp/Vs ratios were applied to the joint inversion of receiver functions and surface wave dispersion to obtain 1-D crustal velocity models beneath each station. The resulting Moho depths range from 25.9 to 33.7 km depth, similar to the results from the H-κ stacking method. Moho depth results from the both methods are generally consistent with Airy’s isostasy. The 1-D crustal velocity models confirm that the existence of 2 km thick low-velocity layers with P-wave velocities of 5 km/s or less at some stations in the Taebaeksan basin, and at the stations CHNB and GAPB in northern Gangwon Province, which are located above the Cenozoic sedimentary layer. The station SH2B, although not overlying a sedimentary layer, has a low P-wave velocity near the surface, which is probably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weathering of the bedrock. We also observe a velocity inversion with decreasing velocity with depth at all stations within 4 − 12 km depths, and mid-crustal discontinuities possibly due to density differences in the rocks at around 10 km depth below some station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및 이론
3. 지진자료 획득 및 자료처리
4. 결과 및 분석
5. 토의
6.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구통계 기법을 이용한 토양오염 분포 예측 오차 최적화 및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영향인자 해석
- Geochemistry and Petrogenesis of Pan-african Granitoids in Kaiama, North Central, Nigeria
- 수신함수와 표면파 분산의 연합 역산을 사용한 강원도 지역 하부의 지각속도구조 분석
- 페리하이드라이트의 산화음이온 흡착 특성과 광물상 변화
- 현무암 CO2 지중저장 해외 연구 사례 조사 및 타당성 분석
- 단층 활동 추적 연구에서의 Shape Preferred Orientation (SPO) 분석법
- 벤토나이트의 열수변질특성에 따른 중금속의 거동 특성
- 탄산칼슘 동질이상체의 수용액 기반 합성법 및 형태학적 특성 리뷰
- 상동광산 석영맥의 조직 및 석영의 미량원소 분석을 통한 광맥 침전기작 도출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니켈 라테라이트 광상의 특성과 광화 규제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Evidence for Detecting K/Pg Boundary in Bade Section, Dohuk Area, Northern Iraq
-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Gravity and Magnetic Data for Fe-Mn-Pb Mineralization Prospecting in Jbel Skindis, Eastern High Atlas, Morocco
- 서부 경기지괴 태안지역의 구조 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 고원생대 서산층군의 분포 양상으로부터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