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무암 CO2 지중저장 해외 연구 사례 조사 및 타당성 분석

이용수 39

영문명
A Comprehensive Review of Geological CO2 Sequestration in Basalt Formations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전현정 신형철 윤태권 한원식 정재훈 곽재휘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56권 3호, 311~33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CO2 배출량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 심화에 대한 주요 대책으로 CO2를 포집하여 지중에 저장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arbon capture storage, CCS)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현무암의 거대한 체적, 높은 반응성, 풍부한 양이온 함량 등의 특성이 CO2 포획 및 저장 기작에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이 부각되면서, 현무암층을 대상으로 하는 CO2 지중저장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2 지중저장 기작, 현무암의 특성과 더불어 국외 연구 사례들을 조사 및 분석하여, 현무암 CO2 지중저장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조사한 사례들은 수행 방법을 기준으로 실험, 모델링, 현장 실증 연구로 분류하였다. 연구 사례별 실험 조건의 경우 온도는 20 ~ 250 ℃, 압력은 0.1 ~ 30 MPa, 암석-유체 간 반응 시간은 수 시간에서 4년까지 넓은 범위에서 진행되었다. 모델링 연구에서는 현무암 CO2 지중저장 후보지와 유사한 모델을 구축하여 CO2-유체 주입 전∙후 유체역학적 및 지화학적 요인들에 대한 변화를 살펴본 사례가 다수였다. 검토 결과, 현무암은 잠재 CO2 저장용량이 크고, CO2 광물화 반응이 빠르기 때문에 현무암 CO2 지중저장시 온도와 압력 및 지질구조와 같은 환경적인 제약이 적다. 현장 실증 사례인 CarbFix project, Wallula project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실증 수행가능성 또한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현무암 대상 CO2 지중저장에서 신중히 고려해야 할 점도 존재한다. 광물화 기작이 현무암의 조성, 주입 지역의 특성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탄산염과 규산염 광물 등의 침전으로 인해 관정 주입성(injectivity)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CO2 주입 시 저장층 내 압력 증가가 발생할 수 있으며 암석-CO2-유체 반응 과정에서 지중환경 오염의 위험성도 존재한다. 유체에 CO2를 용해시켜 주입하기 때문에 기존 방식과 다른 지중 모니터링 기술 또한 요구된다. 따라서, 현무암에서의 CO2 지중저장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대상 지역을 선별하고, 해당 지역에 대한 여러 자료를 구축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실험, 모델링, 현장 실증 등의 체계적인 연구 수행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Development of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technique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a method to mitigate the strengthening effects of global warming, generated from the unprecedented increase in released anthropogenic CO2. In the recent years, the characteristics of basaltic rocks (i.e., large volume, high reactivity and surplus of cation components) have been recognized to be potentially favorable in facilitation of CCS; based on this, research on utilization of basaltic formations for underground CO2 storage is currently ongoing in various fiel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underground storage of CO2 in basalt,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CO2 storage mechanisms in subsurface, assessment of basalt characteristics, and review of the global research on basaltic CO2 storage. The global research examined were classified into experimental/modeling/field demonstration, based on the methods utilized. Experimental conditions used in research demonstrated temperatures ranging from 20 to 250 ℃, pressure ranging from 0.1 to 30 MPa, and the rock-fluid reaction time ranging from several hours to four years. Modeling research on basalt involved construction of models similar to the potential storage sites, with examination of changes in fluid dynamics and geochemical factors before and after CO2-fluid injection. The investigation demonstrated that basalt has large potential for CO2 storage, along with capacity for rapid mineralization reactions; these factors lessens the environmental constraints (i.e., temperature, pressure, and geological structures) generally required for CO2 storage. The success of major field demonstration projects, the CarbFix project and the Wallula project, indicate that basalt is promising geological formation to facilitate CCS. However, usage of basalt as storage formation requires additional conditions which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 mineralization mechanism can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basalt composition and injection zone properties: for instance, precipitation of carbonate and silicate minerals can reduce the injectivity into the formation. 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polluting the subsurface environment due to the combination of pressure increase and induced rock-CO2-fluid reactions upon injection. As dissolution of CO2 into fluids is required prior to injection, monitoring technique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methods are needed. Hence, in order to facilitate efficient and stable underground storage of CO2 in basalt, it is necessary to select a suitable storage formation, accumulate various database of the field, and conduct systematic research utilizing experiments/modeling/field studies to develop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storage site.

목차

1. 서론
2. CO2 지중저장 기작
3. 현무암 CO2 지중저장
4. 현무암 CO2 지중저장 타당성 검토
5. 결론 및 제언
사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현정,신형철,윤태권,한원식,정재훈,곽재휘. (2023).현무암 CO2 지중저장 해외 연구 사례 조사 및 타당성 분석. 자원환경지질, 56 (3), 311-330

MLA

전현정,신형철,윤태권,한원식,정재훈,곽재휘. "현무암 CO2 지중저장 해외 연구 사례 조사 및 타당성 분석." 자원환경지질, 56.3(2023): 311-3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