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동광산 석영맥의 조직 및 석영의 미량원소 분석을 통한 광맥 침전기작 도출
이용수 75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ecipitation Mechanism of Quartz Veins from Sangdong Deposit by Analyses of Vein Texture and Trace Element in Quartz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이유성 박창윤 김영규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6권 3호, 239~25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상동 텅스텐(W)-몰리브덴(Mo) 광산은 태백산 광화대에 위치하는 스카른 광상으로, 광화 작용 최후기에 수직적 분포양상을 보이는 회중석-석영맥을 산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석영맥의 조직 관찰과 LA-ICPMS를 통한 석영의 미량원소 함량 분석을 통해 석영맥을 형성한 유체의 조성 및 이들의 침전 기작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석영맥 조직 관찰 결과, 상동광산의 상반맥과 하반맥에서는 각각 괴상조직과 신장형 괴상조직이 주로 발달하고, 본맥에서는 두가지 조직이 모두 관찰된다. 이러한 석영맥의 조직적 특징으로 볼 때, 괴상조직을 나타내는 상반맥의 석영맥은 맥상스카른 형성 단계에서 화성암체의 H2O 포화로 인한 수압 파쇄작용들 중 초기에 발생한 작용에 의해 침전되었고, 신장형 괴상조직을 나타내는 본맥과 하반맥의 석영맥은 상반맥의 석영맥 형성 이후 발생한 반복적 수압파쇄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석영의 미량원소 분석 결과 대부분 Li++Al3+↔Si4+의 치환관계를 만족하지만, 하반맥에서는 Li+이 우세하게 치환되는 경우와, Na+과 K+이 우세하게 치환되는 경우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이는 하반맥의 신장형 괴상조직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조성을 가지는 유체의 반복적 유입에 의한 결과로 해석된다. 석영의 Ti 함량은 상반맥, 본맥, 그리고 하반맥에서 각각 평균 28.6, 8.2, 그리고 15.7 ppm이며, 침전온도와 Ti 함량이 비례관계를 가진다는 점에서, 상반맥의 석영맥이 가장 고온환경에서 침전된 것으로 고려된다. 유체의 pH와 반비례관계를 가지는 석영의 Al 함량은 상반맥, 본맥, 그리고 하반맥에서 각각 평균 162.3, 114.2, 그리고 182.5 ppm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타 열수 광산들의 석영과 비교하여 매우 낮은 함량을 나타낸다. 이는 상동광산의 석영맥을 구성하는 석영 및 회중석이 약산성 내지 중성의비교적 일정한 pH조건에서 침전되었음을 지시한다.
영문 초록
Sangdong deposit, a W-Mo skarn deposit, is located in Taebaeksan mineralized district, hosting vertically developed scheelite-quartz veins that formed at the late ore-forming stage.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geochemical signatures of ore-forming fluids and vein-forming mechanisms by analyzing the micro-texture of quartz veins and trace element concentrations of quartz. As a result of texture analyses, quartz veins in the hanging wall orebody and the foot wall orebody commonly exhibit the blocky and the elongate blocky texture, respectively, whereas quartz veins in the main orebody show both textures. These textural differences indicate that quartz veins from the hanging wall orebody were precipitated by the primary hydrofracturing due to H2O saturation in the igneous body with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at a vein-skarn stage, and after that, repeated hydrofracturing caused the formation of quartz veins from the main orebody and foot wall orebody. The results of trace element concentrations show that Li++Al3+↔Si4+ is a main substitution mechanism. However, those of the foot wall orebody were clearly divided into a Li+-dominated substitution and a Na+-, K+-dominated substitution. Considering that quartz veins from the foot wall orebody commonly show the elongate blocky texture, such a distinction means that it is a result of repeated injections of fluid with the different composition. Ti concentrations of quartz from the hanging wall, main, and the foot wall orebody are 28.6, 8.2, and 15.7 ppm in average, respectively. Given a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Ti concentrations, it seems that quartz veins from the hanging wall orebody were precipitated at the highest temperature. Al concentrations of the hanging wall, main, and the foot wall orebody having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fluid pH are 162.3, 114.2, and 182.5 ppm in average,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Al concentrations in vein-forming fluids were not changed dramatically. Moreover, these concentrations are extremely low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hydrothermal deposits. This indicates that quartz in overall ore veins at Sangdong deposit was precipitated from the constant condition with slightly acidic to near neutral pH.
목차
1. 서론
2. 지질 개요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토의
6. 결론
사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구통계 기법을 이용한 토양오염 분포 예측 오차 최적화 및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영향인자 해석
- Geochemistry and Petrogenesis of Pan-african Granitoids in Kaiama, North Central, Nigeria
- 수신함수와 표면파 분산의 연합 역산을 사용한 강원도 지역 하부의 지각속도구조 분석
- 페리하이드라이트의 산화음이온 흡착 특성과 광물상 변화
- 현무암 CO2 지중저장 해외 연구 사례 조사 및 타당성 분석
- 단층 활동 추적 연구에서의 Shape Preferred Orientation (SPO) 분석법
- 벤토나이트의 열수변질특성에 따른 중금속의 거동 특성
- 탄산칼슘 동질이상체의 수용액 기반 합성법 및 형태학적 특성 리뷰
- 상동광산 석영맥의 조직 및 석영의 미량원소 분석을 통한 광맥 침전기작 도출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니켈 라테라이트 광상의 특성과 광화 규제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Evidence for Detecting K/Pg Boundary in Bade Section, Dohuk Area, Northern Iraq
-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Gravity and Magnetic Data for Fe-Mn-Pb Mineralization Prospecting in Jbel Skindis, Eastern High Atlas, Morocco
- 서부 경기지괴 태안지역의 구조 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 고원생대 서산층군의 분포 양상으로부터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