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정서가 공간지연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

영문명
The Impact of Emotion on Spatial Delayed Respons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발행기관
대한사회정신의학회
저자명
양정인 박성혁 김진훈
간행물 정보
『사회정신의학』제16권 제1호, 35~40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5.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 정신분열병 환자는 다양한 영역에서 인지 장애를 보이고, 이는 많은 부분이 작동기억의 장애로 인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으며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특히 시공간 작동기억 수행의 장애가 보고되었다. 또한 정신분열병에서 인지 장애와 함께 정서 장애가 특징적인 병리로 간주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정서가와 정서의 각성도가 공간 지연 반응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국립공주병원에 입원 중인 20명의 정신분열병 환자와 29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고각성-긍정정서(high arousal-posi-tive valence), 고각성-부정정서(high arousal-negative valence), 중등각성-긍정정서(medium arousal-positive valence), 중등각성-부정정서(medium arousal-negative valence)에 해당하는 사진 자극을 목표자극으로 하는 공간지연반응과제의 반응시간과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 부정 정서 자극에서 정확도가 떨어졌고(p<0.01),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전체 과제 수행에서 환자군의 정확도가 떨어졌으며(p<0.01) 반응 시간도 더 길었던 것으로 나타났다(p=0.09). 과제 수행 반응 시간에서 집단과 각성도간 교호 효과(interaction)가 통계적 경향성을 보였는데[F(1,47)=3.67, p=0.061], 사후검정 상 대조군에서는 각성도에 따른 반응 시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나(p<0.05), 환자군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p=0.66).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정신분열병 환자는 정상인에 비하여 공간 작업 기억 수행 능력이 저하되어있고 정서 자극의 신호를 인지 하는 과정에 장애를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Schizophrenic patients show cognitive impairments in various areas. The majority of these impairments is alleged to be caused by the impairment of working memory, especially spatial working memory. Visuospatial working memory impairment has been reported in schizophrenic patients. In addition to cognitive impairments, emotional impairment is a pathognomic sign of schizophrenia.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valence and arousal has on schizophrenic patients performing spatial delayed response tasks. Methods : 20 hospitalized schizophrenic patients in Kong-ju National Hospital and 29 normal controls were included. We designed the spatial delayed response task showing photo targets divided into 4 categories, high arousal-positive valence, high arousal-negative valence, medium arousal-positive valence, medium arousal-negative valence. We checked reaction time and accuracy. Results : Both the patient and control groups showed lower accuracy in the negative valence task (p<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atients showed lower accuracy(p<0.01) and longer reaction time (p=0.09) throughout the total task. In regard to reaction time,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emotional arousal showed a statistical trend (p=0.06). In a post hoc analysis, the difference in reaction time according to emotional arousa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trol groups (p<0.05) wherea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patient group (p=0.66). Conclusion : Results suggest that schizophrenic patients have impairments in spatial working memory compared to normal controls. Although schizophrenic patients show difficulty recognizing emotional signals, this difficulty has less of an effect on spatial working memory in the case of schizophrenic patients compared to control groups.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정인,박성혁,김진훈. (2011).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정서가 공간지연반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정신의학, 16 (1), 35-40

MLA

양정인,박성혁,김진훈.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정서가 공간지연반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정신의학, 16.1(2011): 35-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