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석기시대 휴대용 봉상지석(棒狀砥石)에 대한 검토

이용수 79

영문명
Review of portable rod-shaped stones in the Neolithic period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김은영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45호, 59~8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반도 중부 이남지역 출토 신석기시대 휴대용 봉상지석의 출토양상과 변천의 특징을 살펴보고, 의례용구로서 기능하였을 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변화가 빠르거나 다양하지 못한 석기의 특성을 반영하여, 광구토기군에 공반하는 지석과 첨저토기군에 공반하는 지석으로 크게 분류하여, 형태와 출토 맥락을 검토한 후 그 변화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광구토기군에 공반하는 휴대용 봉상지석은 주로 평면이 봉상이고 단면이 둥글거나 말 각방형이며, 산상유적과 무덤, 패총에서 출토되는 사례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첨저토기군에 공반하는 휴대용 봉상지석은 광구토기 공반 지석에 비해 수량이 많고, 평면이 방형이면서 단면이 장방형인 판상 지석이 증가한다는 변화가 엿보인다. 주거유적에서 출토되는 비율도 높아진다. 이는 한반도 신석기시대의 사회 변화의 큰 흐름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판단되며, 마연기술의 발전과 실용화로 특징지어지는 청동기시대 지석에 가까워지는 것이었다. 한편, 무덤과 산상유적에서 출토된 지석에 주목하여, 공반하는 인부마연석부의 분석을 통해 이지석들이 광구토기군에 귀속된다는 점을 규명하고, 봉상지석과 석부가 세트로써 의례용구였을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의례용으로 인정할 만한 석기가 드문 한반도 신석기시대에서, 광구토기군에 한정된 것이기는 하나, 휴대용 봉상지석을 통해 당시 의례 행위의 한 단면을 복원할 수 있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aeological contexts and change of portable rod-shaped stone artifacts from the Neolithic period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Korean peninsula and to review the possibility that they functioned as ritual tool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tone tools that do not change rapidly or diversely, I classified them into two major categories: stones corresponding to the wide-mouthed pottery group and stones corresponding to the round-bottomed pottery group. I examined their shapes and excavation contexts and attempted to reveal their changes. Portable rod-shaped stones corresponding to the wide-mouthed pottery group are characterized by a planar shape surface that is rod-shaped and a cross-section shape that is round or rectangular. They are often found in mountainous sites, tombs, and shell mounds. Portable stones corresponding to the round-bottomed pottery group show an increase in quantity compared to stones corresponding to the wide-mouthed pottery group, and a change in which flat stones with rectangular cross-sections appear. There is also a change in which the proportion of stones excavated from residential sites increases. This reflects the major trends of social change in the Korean Neolithic period, and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direction of change is closer to that of Bronze Age stones. On the other hand, by focusing on stones excavated from tombs and mountainous sites, I clarified through analysis of corresponding axes that these stones were attributed to the wide-mouthed pottery period. I also suggested that rod-shaped stones and stone axes may have been a set of ritual tools. Although limited to the wide-mouthed pottery group, it is significant that I were able to restore one aspect of ritual behavior in the Korean Neolithic period through portable rod-shaped stones.

목차

Ⅰ. 머리말
Ⅱ. 휴대용 봉상지석의 출토양상
Ⅲ. 휴대용 봉상지석의 변천
Ⅳ. 의례용구로서의 지석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영. (2023).신석기시대 휴대용 봉상지석(棒狀砥石)에 대한 검토. 한국신석기연구, (), 59-85

MLA

김은영. "신석기시대 휴대용 봉상지석(棒狀砥石)에 대한 검토." 한국신석기연구, (2023): 59-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