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Comparison Results between Differential Compar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through Image Schema and Container Schema : Focusing on Expressions in Korean Equivalent to ‘小’ in Chinese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이은민(李殷旼)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83輯, 95~11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인지언어학의 이론 중 하나인 영상도식과 그릇도식을 통해 한·중 차등 비교문 속 비교결과인 중국어 ‘小’에 해당하는 한국어의 다양한 표현을 연구하고자 한다. AI 허브라는 인공지능 학습용 병렬 데이터에서 한·중 차등 비교문의 용례들을 내려받고, 그 중 비교결과 중국어 ‘小’에 해당하는 한국어의 원형 표현인 ‘작다’ 외의 확장 의미 표현을 정리하며 언어의 다의성을 역동성과 유연성으로 자연스럽게 설명되는 영상도식으로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영상도식의 논리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그릇도식을 통해 중국어 ‘小’와 한국어 원형의미인 ‘작다’ 외의 확장 의미 표현 들을 도식화로 살펴봄으로써 한·중 차등 비교문의 의미관계를 좀더 자세히 고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rough image schematics and container schematics, one of the theories of cognitive linguistics, this paper aims to study various expressions of Korean corresponding to the Chinese “small”, which is the result of comparison in the Korean-Chinese comparison. We would like to download examples of Korean-Chinese comparisons from parallel data for AI learning called AI hubs, organize extended semantic expressions other than “small”, which correspond to Chinese “small”, and examine the semantic relationship through image schematics and bowl schematics.
In addition, for this study, we would like to first analyze and organize prior studies, then extract examples, and then organize and analyze the extracted examples, and then organize and analyze the extracted examples. This study not only has novelty and contribution to research with a cognitive approach academically, but also educationally, it is expected that Korean and Chinese language learner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peech from different angl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목차
1. 서론
2. 한·중 차등비교문의 비교결과 데이터 추출
3. 영상도식을 통한 중국어 ‘小’의 한국어 표현 대비 분석
4. 그릇도식을 통한 중국어 ‘小’의 한국어 표현 대비 분석
5.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毕淑敏의 『화관바이러스』에 투영된 인간의 욕구와 이기주의
- 홍콩성의 생산과 여성의 늙음에 대한 재인식
- 고계의 시가 특징과 명대 시학의 추향
- 쓰여진 것과 쓰여지지 않은 것(2)
- 新媒体时代下舆论监督导致的“媒体审判”
- 중국의 수출입 동물과 동물제품 위생검역 사례분석
- 浅析高校美术教育观念的革新与思考
- 胡適 國語文學觀의 형성
- 网络语言中模仿现象的模因论特征研究
- 한중 ‘연속’ 표현과 주관량
- 台灣「慰安婦」」敘事研究
- 현대중국의 종교정책에 따른 성직자 양성 고찰
- 宋詩 속 ‘一簞食, 一瓢飮’에 대한 인식과 수용 연구
- 중국어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사례 연구
- 喀斯特地区城市化进程中的人口流动特征与影响因素研究
- 宋代 文人 사찰시 속 감각 운용
- 대학 중국어교육에서의 온라인 국제협력학습 기반 교수-학습 모형 설계
- 在出走与坚守之间
- 중국 자귀현 단오절의 의례적 기능에 대한 탐구
- 영상도식과 그릇도식을 통한 한중 차등 비교문에서의 비교결과 분석
-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노래
- 의미연결망분석과 감성분석을 통한 한국 언론의 중국 이미지 변화
- 中國學 第83輯 목차
- 1949年以来中国语言政策下方言的记录与继承
- 『封神演义』动画电影的“封神之路”模式探索
- 「아샤오의 슬픔(桂花蒸·阿小悲秋)」에 나타나는 문화적 혼종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