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articles of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홍윤기 김중섭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1권 4호, 393~42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learners select particles behind nouns when they are making sentences. We divided all subjects into japanese learners, chinese learners and others according to learners' mother language. Also,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levels such as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Japanese learners were having difficulties in selecting particles than chinese learners in beginning level. On the other hand, chinese learners couldn't catch up japanese learners in using particles in advanced level. The ability of using particles of other learners except japanese learners and chinese learners is even in all levels. Most learners properly selected the particles in given sentences, while some didn't catch the property of some particles. In addition, we found that learners easily used the particles in the composite forms or the patterned forms, while they were lacking in their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auxiliary particles. The educational method on particles would be able to be set up based on this study. (Kyung Hee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선택을 위한 설문
3. 학습자의 조사 선택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제언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학대상국에 대한 국가인식과 문화교육
- 인식 조사를 통한 한국어 구어 유창성의 개념 및 요인 연구
- A Classroom Study on the Efficacy of Interactional Feedback for Korean Particles
- FonF 연구의 최근 동향이 한국어 교육에 시사하는 점
-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한 한국어 말하기 성취도 평가의 신뢰도와 오차요인 분석
- 연결어미의 종결어미적 쓰임에 나타나는 억양의 중간언어 연구
- 한국어 구어 문법을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
- 재미동포 학생을 위한 외래어 교육 연구
- 영어권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학·교수 학습의 실제
-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선택 연구
- 학문목적 유학생들의 독해력 지수와 읽기 전략, 동기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연구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 수업
- 한국어 ‘우리’와 중국어 대응표현의 대조분석
-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
- 한국어 문법용어에 사용에 관한 교사·학습자의 인식 연구
- 시장전체주의와 한국어교육의 정체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