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판 ‘삶의 목적(PIL) 검사’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이용수 101
- 영문명
- Reliability &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Purpose in Life(PIL) Test’ Scale
- 발행기관
- 대한사회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형섭 정성권 고영 송진우
- 간행물 정보
- 『사회정신의학』제6권 제2호, 155~16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의미치료법(Logotherapy)의 이론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영문판‘삶의 목적 검사(PIL)’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국내에서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 정상 일반인군과 우울증군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방 법:
정상 일반인 남녀 625명에게 한국어판 PIL을, 우울증 환자 40명에게 PIL 및 BDI를 시행하였으며, 정상 일반인 대상자들 중 45명에게 검사-재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1) 정상 일반인군과 우울증군의 PIL총점 평균은 각각 95.66점, 75.7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정상 일반인 군에서 2주간의 시간 간격을 두고 검사-재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문항 점수에 대한 상관계수는 0.89이었다.
3) 내적 일치도는 Cronbach α=0.8897(Standardized item alpha=0.8966)이었다.
4) PIL 20개 문항들은 4개의 요인들(‘삶에 대한 태도’, ‘삶에 대한 목표의식’, ‘삶에 대한 주도성’, ‘존재에 대한 가치감’)로 분석되었으며, 요인들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positive) 상관관계가 있었다.
5) BDI와 PIL 총 점수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negative correlation)가 있었고, 4개의 요인별 비교에서도 우울증 군은 정상 일반인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결 론:
한국어판 삶의 목적 검사(PIL) 척도는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척도라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Purpose In Life test(PIL) was a scale designed for detecting the quantity of purpose in life of oneself, which was consisted with 20 items and. The theological background was a philosophy of existentialism and because everybody’s having a desire of finding the meaning of own life, thus, unless found it everybody could experience the existential frustration and existential vacuum.
We had thought the PIL could be a useful tool for detecting the causal aspects and therapeutic directions of the Korean specific disease entity such as Hwabyeong, house keeper’s depression, the problems of the childhood etc. Thus, we had translated English version of PIL into Korean and testified the reliability with validity.
Methods:Subjects were physically healthy and no psychiatric problems of 700 people. However, the data we had treated at last were 625. And also we tried to do test-retest and compared the healthy people’s data by PIL with depression patient’s data by PIL and BDI.
Results:1) The ratio of the men/women was 241/384 and mean age was 37.87 years old in healthy group and 26/14 with 40.77 years old in depression group. And in depression group mean duration of illness was 52.17 months with 25 points of mean BDI total score.
2) Total score of PIL was 95.66 in healthy group and 75.70 in depression group,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groups(p<0.05).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related with religion and education level in healthy group but there were no relations with those items, except gender, in depression group.
3) Test-retest reliablity of healthy group was done with Pearson’s correlation and the r was 0.89(p<0.01).
4) Item-total correlation was Cronbach α=0.8897(Standardized item alpha=0.8966) and internal consistency was Equal-length Spearman-Brown=0.8151(Guttman Split-half=0.8136, Unequal-length Spearman-Brown=0.8151).
5) There were 4 factors by the factor analysis. The meaning of the factors were like that factor 1 was ‘attitude about the life’ and factor 2 ‘purpose of the life’, factor 3 ‘initiative’, factor 4 ‘value about being’. Those 4 factors were reveal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healthy and depression group(p<0.01).
6) In the concurrent validity total score of BDI and PIL revealed negative correlation(r=-0.621, p<0.01). The scores of the 4 factors in depression group were statistically lower than those in healthy group(p<0.01), and also correlations of the BDI total score with 4 factors revealed negative correlations,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factor 1 r=-0.626, factor 4 r=-0.698;p<0.01, factor 2 r=-0.377, factor 3 r=-0.426;p<0.05).
Conclusion:We suggest that Korean version of PIL might be a reliable and valid scale.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만성정신질환자들을 위한 인터넷 추구 서비스 시험 구축
- 인터넷 중독의 정신과적 개념과 문제점
- 사이버 정신의학의 현황과 문제점
- 노숙자 쉼터에서 거주하는 노숙자들의 심리 상태
-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정신사회재활 성과에 대한 3년간의 추적조사
- 인지행동재활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정신과 외래 신환자들의 치료적 중단
- 한국어판 ‘삶의 목적(PIL) 검사’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 정신과 임상실습 교육 전후의 의과대학생들과 간호대학생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신보건법 개정 연구안 “환자와 가족이 원하는 정신보건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Cancer Patients
- Diminished Compensatory Energy Production Following Hypoxic Stress in the Prefronta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 Prenatal Mental Health and Its Stress-Process Mechanisms During a Pandemic Lockdown: A Moderated Parallel Mediation Mode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