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숙자 쉼터에서 거주하는 노숙자들의 심리 상태
이용수 14
- 영문명
- Psychological Status of Homeless in the Shelter
- 발행기관
- 대한사회정신의학회
- 저자명
- 최현경 홍영재 이동기 조동환 김정기
- 간행물 정보
- 『사회정신의학』제6권 제2호, 124~129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급증하고 있는 노숙자들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사회인구학적, 정신과적 특성과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도시노숙자 쉼터에 거주하는 남자 노숙자 152명을 대상으로 SAS, SDS, SCL-90-R, KvSBQOL척도를 조사하였다.
결 과:
노숙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의의있는 우울, 불안의 상승을 나타내었고, 또한 SCL 90-R의 모든 척도에서 의의있는 상승을 나타내었으며 삶의 질을 나타내는 모든 소척도에서도 의의있는 저하를 나타내었다. 노숙자군을 실직한 시점으로부터 6개월 이내, 7개월에서 12개월 이하, 13개월에서 24개월 이하, 25개월 이상으로 분류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기간에 상관없이 의의있게 높은 정도의 우울, 불안을 나타내었으며 SCL-90-R의 모든 소척도에서도 의의있는 상승을 나타내었고 또한 KvSBQOL도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나 노숙자군간의 실직기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노숙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울, 불안, SCL-90 R척도 모두에서 의미있는 상승을 나타내었고, 삶의 질 척도에서는 의미있는 저하를 나타내었으며, 실직후 2년까지도 높은 정신병리적 소견과 낮은 삶의 질 척도를 나타냄으로써 정부나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정신과적 치료개입이 필요한 노숙자를 선별할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It was designed to study on depression, anxiety, psychological state, quality of life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homeless in the shelter in Pusan. 152 homeless were investigated through SAS, SDS, SCL-90 R and KvSBQOL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omeless was almostly in the age of 30s and 40s(average age of 42.3), and most of them possessed a academic career of lower than senior high school graduates, and had a family to support. The reasons of unemployment were individual dishonor or dissolution of company(42.9%), resignation(17.0%) and acceptability on the loss of job was 50.3%
2)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homeless group was more anxious and depressive state, kep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all subscales of SCL-90-R, and felt significantly lower quality of life.
3) In homeless group, the period of job loss did not affect either the score of SAS, SDS, SCL 90-R or the score of Korean version SBQ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iatric attention should be payed to the homeless for correction of their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that more systematized social support system is necessary to help the homeless.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요 약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만성정신질환자들을 위한 인터넷 추구 서비스 시험 구축
- 인터넷 중독의 정신과적 개념과 문제점
- 사이버 정신의학의 현황과 문제점
- 노숙자 쉼터에서 거주하는 노숙자들의 심리 상태
-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정신사회재활 성과에 대한 3년간의 추적조사
- 인지행동재활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정신과 외래 신환자들의 치료적 중단
- 한국어판 ‘삶의 목적(PIL) 검사’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 정신과 임상실습 교육 전후의 의과대학생들과 간호대학생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신보건법 개정 연구안 “환자와 가족이 원하는 정신보건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Cancer Patients
- Diminished Compensatory Energy Production Following Hypoxic Stress in the Prefronta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 Prenatal Mental Health and Its Stress-Process Mechanisms During a Pandemic Lockdown: A Moderated Parallel Mediation Mode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