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성정신질환자들을 위한 인터넷 추구 서비스 시험 구축
이용수 3
- 영문명
- The Trial Establishment of Internet Follow-up Service for Chronic Mentally-Ills
- 발행기관
- 대한사회정신의학회
- 저자명
- 이영렬
- 간행물 정보
- 『사회정신의학』제6권 제2호, 103~10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개발사업의 최종목적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신장애인들을 포함한 만성정신질환자들을 원격진료·원격관리할 수 있는 재가(在家) 서비스를 연구·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및 결과:
주)한국인터넷데이터센터 내에 웹서버를 구축하고, 연구용 웹사이트(국립 사이버 정신병원, www.ncmh.go.kr)를 개통하여 개별적 일정관리가 가능한 원격화상진료 서비스, 데이터 분석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 문진(問診) 서비스, 집단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전용 대화방 서비스, 개별 메일 계정이 제공되는 메일 서비스, 환자별 로그분석 서비스 등을 일정기간 시험 운용하면서 서비스의 기술적 문제점 등을 점검하였다. 그리고 시험 운용의 결과로 얻어진 이용자의 반응과 운영자의 경험을 토대로 서비스 메뉴들의 기술적 신뢰도와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여 이를 반영한 새 웹사이트(NCMH ver 2.0)를 구축하고 있다.
결 론:
만성정신질환자들을 위한 인터넷 정신의료 서비스 연구개발은 만성정신질환자들의 정보 복지 실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고 일반적인 정보통신 기술로도 충분히 구현 가능한 일이지만, 임상현장에 적용하기에는 아직 여러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는 단계이다. 특히, 인터넷이라는 미디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인터넷 원격진료에 대해 법적·제도적 뒷받침이 없는 것은 큰 장애요인이다. 따라서, 향후 만성정신질환자들을 위한 인터넷 정신의료 서비스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도구로서의 인터넷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와 인터넷 원격진료에 대한 법적·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며 나아가 온라인 정신의료 서비스들의 효율성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 적절한 방향제시를 해 주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To develop home-based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that manages chronic mentally ill patients through internet.
Methods and Results:A web server of cyber mental hospital has been constructed in the Korea Internet Data Center Co., and the web site(National Cyber Mental Hospital, www.ncmh.go.kr) has been operated to provide the following services:telemedicine service with image files, which enables individuals to manage their schedule;online diagnosis service with real time data analysis;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which can be used for group therapy;e-mail service which provides individual email accounts;log analysis for each patient. These services were experimentally provided to mentally ill patients for a certain period, and technical reliability and clinical utility were evaluated based on patients’ responses. Based on evaluation of the web site operation, new web cite(NCMH ver 2.0) has been developed.
Conclusions:To develop psychiatric service through internet for chronic mentally ill patients is very meaningful for their welfare in the internet era. And present information technology has made possible home-based mental health service through internet for chronic mentally-ills. But this service has some limits and is not suitable for clinical field yet. Especially we don't have sufficient research data about internet as media and legal basis for internet telemedicine. Accordingly, we need further studies about internet as a communication tool in many directions and legal basis for internet telemedicine. Also a lot of cost-benefit analysis about online psychiatric services should be conducted for proper development of internet telemedicine.
목차
서 론
서비스 구축 개요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만성정신질환자들을 위한 인터넷 추구 서비스 시험 구축
- 인터넷 중독의 정신과적 개념과 문제점
- 사이버 정신의학의 현황과 문제점
- 노숙자 쉼터에서 거주하는 노숙자들의 심리 상태
-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정신사회재활 성과에 대한 3년간의 추적조사
- 인지행동재활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정신과 외래 신환자들의 치료적 중단
- 한국어판 ‘삶의 목적(PIL) 검사’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 정신과 임상실습 교육 전후의 의과대학생들과 간호대학생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신보건법 개정 연구안 “환자와 가족이 원하는 정신보건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Cancer Patients
- Diminished Compensatory Energy Production Following Hypoxic Stress in the Prefronta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 Prenatal Mental Health and Its Stress-Process Mechanisms During a Pandemic Lockdown: A Moderated Parallel Mediation Mode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