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단학습의 이론화 가능성 및 쟁점에 대한 연구

이용수 188

영문명
The Potential for Theorizing Collective Learning and Key Issues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김다슬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제29권 제2호, 53~8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집단 수준의 학습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고 그 중요성이 더해지면서, 이러한 형태의 학습을 설명하는 이론 지형을 보다 통합적으로 제시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 연구는 집단 수준의 학습을 포괄하는 학습이론으로서 집단학습의 이론화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집단학습의 주요 개념과 특성을 검토하고 이론적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집단학습은 개념 및 용어의 정의가 엄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이론적 모호성 및 논의의 왜곡 가능성이 존재하였고, 이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집단, 맥락 등 주요 개념에 대한 정의를 시도하였다. 또한, 맥락성이 강한 집단학습의 특성에 따라 집단학습의 접근방식을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논의의 격차를 줄이고 이론화를 위한 기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집단학습의 개념과 특징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집단학습에 대한 이론적 쟁점을 제시하고 논의를 진전시키면서 과제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집단학습 연구의 핵심 쟁점으로 행위성의 문제, 집단학습 과정과 방식의 이론화 가능성, 집단학습을 촉발하거나 영향을 주는 조건 등에 대한 논의를 제기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를 함께 제시하였다. 집단학습의 이론화를 위한 이 연구는 평생학습의 연구 영역을 다양한 집단으로 확장해나가는 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집단적인 논의 및 행동을 요구하는 공동의 과제가 늘어나는 현대사회에 집단을 연구하는 학습이론으로서, 교육적 실천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s research on collective-level learning has continued to grow in recent years, its significance has become more prominent, necessitating the presentation of a more comprehensive theoretical framework to explicate this form of learn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potential theorization of collective learning as a comprehensive learning theory that encompasses learning at the collective level. Collective learning frequently lacks precise definitions of concepts and terms, leading to theoretical ambiguity and potential distortions in discussions. To address this, discussions were held to define key concepts such as 'collective' and 'context'.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strong contextual nature of collective learning, three typologies of collective learning approaches were identified. This served as a foundation to bridge the gaps in discussions and provide reference points for theorization, ultimately yielding the derivation of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learning. Subsequently, theoretical controversies pertaining to collective learning were presented to advance discussions and draw out tasks and implications. Key issues in collective learning research, including the question of agency, the possibility of theorizing collective learning processes and methodologies, and the conditions that trigger or influence collective learning, were deliberated upon in addition to the presentation of tasks that need to be addressed through further research. This study on the theorization of collective learning not only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lifelong learning research concerning diverse groups but also serves as a learning theory that investigates groups in contemporary society, where collective discussions and actions are increasingly demanded. Thus, It has the potential to offer educational strategies and recommendation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집단학습 개념의 특성
Ⅲ. 집단학습 이론화를 위한 쟁점 및 과제
Ⅳ. 집단학습 이론화에 대한 시사점
Ⅴ.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다슬. (2023).집단학습의 이론화 가능성 및 쟁점에 대한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29 (2), 53-81

MLA

김다슬. "집단학습의 이론화 가능성 및 쟁점에 대한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29.2(2023): 53-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